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에 부작용이 우려되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말고 다른 백신을 지원해 달라고 요구했다는 발언이 나왔다. 중국산 백신 역시 불신해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주장도 함께 나왔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이날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북한 정세 브리핑: 쟁점과 포커스’ 주제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은 해외로부터 백신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확보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연구원은 “북한은 코백스를 통해 도입할 예정이었던 AZ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해 수용을 거부하면서 타백신으로의 대체 가능성을 타진했다”고도 전했다.
코백스는 지난 3월 북한에 백신 199만2000회분을 배정하고 이 중 백신 170만4000회분을 지난 5월까지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공급이 이뤄지진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코백스의 백신 공급 지연에 관해 “북한이 백신 전달을 위한 구호요원의 방북을 거부하는 등 필수 행정절차에 협조하지 않아서”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북한이 화이자나 모더나 등 다른 백신을 지원받으려면 보관 온도를 영하로 유지하는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설이 필요하다.
연구원은 “설사 북한이 냉동·냉장 장비를 들여와도 전력 상황이 불안해 대도시가 아니면 시설 운영이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북한이 우방국인 중국·러시아로부터 백신 지원을 받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도 전했다.
연구원은 “북한이 중국산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면서 “러시아 백신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무상지원을 요구하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다만 지난 3월 말부터 해외 주재 외교원을 비롯한 해외 파견 북한인들은 백신을 접종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연구원은 “각국에서 알아서 백신을 맞는 것에 대해 북한 당국이 문제 삼지 않고 있다”고 귀띔했다.
국가정보원을 주무관청으로 둔 전략연구원은 이런 정보의 정확성에 관해 “팩트에 가깝다”고 답했지만 구체적인 근거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연구원은 최근 군 서열 1위였던 리병철의 정치국 상무위원이 해임되는 등 이른바 ‘간부혁명’이 일어난 것과 관련해 “이제 시작 단계인 것 같다”면서도 북한 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에 따른 것이란 일각의 분석에는 선을 그었다.
특정 지역의 봉쇄 등 별도 방역 조치가 없었고. 북한 매체들의 방역 관련 보도가 특별히 늘어나지도 않았다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다만 군부뿐 아니라 과학기술 분야 인사들도 문책을 당한 배경에 관해 “북한이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 부문에 진척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