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홍콩 민주사회 직격탄… ‘亞 금융허브’ 경제적 위상도 흔들

입력 : 2020-05-28 18:38:01 수정 : 2020-05-28 21:43:1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中 ‘홍콩보안법’ 통과… 美·中 ‘新냉전’ 격화 / 민주진영 통제·탄압 강화 전망 / 사회 내부적으론 反中정서 확산 / 도심 곳곳 반대 시위도 벌어져 / 홍콩 역외시장 위안화 가치 급락 / 특별지위 박탈 땐 피해 더 커질 듯

홍콩이 1997년 주권반환 이후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28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처리를 강행하면서 홍콩 민주진영에 대한 통제와 탄압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미국이 홍콩 특별지위 박탈 수순에 착수, ‘아시아 금융 허브’로서의 경제적 위상 추락도 우려되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중국 중앙정부 종속이 심화하고, 경제적으로도 세계 경제 주류 무대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28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시민들이 중국이 제정하려는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은 악법이라고 규탄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타이베이 AP=연합뉴스

19세기 초 아편전쟁 결과로 영국 식민지로 전락했던 홍콩은 1970, 80년대 자유·민주주의 세력의 전진 기지로 부상하며 ‘아시아 진주’라 불릴 정도로 융성했다. 그러나 냉전이 종식되고, 주권반환 이후 중국의 부상과 영향력 축소에 이어 미·중 갈등 격화에 따라 또다시 세계사 격랑에 휩쓸리는 비극에 직면하게 됐다.

 

특히 미국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홍콩이 누려온 금융허브 등 경제적 위상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특별지위가 박탈되면 홍콩은 중국 본토와 같은 최대 25%의 징벌적 관세 부담 등 여러 특혜를 포기해야 한다. 특히 외국자본 이탈로 아시아 금융 허브가 싱가포르 등 다른 국가로 옮겨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날 홍콩 역외시장에서 위안화 가치가 0.7% 급등한 7.1964위안까지 치솟는 등 사상 최저 수준으로 급락한 것도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홍콩 변호사 안토니 다피란은 “홍콩이 중국과는 분리된 정치적 피난처로서 역할을 못 한다면 외국 기업이 있을 이유가 없다”고 분석했다.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하다. 여전히 많은 중국 본토 기업은 홍콩을 외국 자본 조달이나 우회 수출 통로로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이 홍콩보안법을 강행한 배경에는 홍콩의 존재가 중국 공산당 체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고도 자치와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중국 본토는 물론 다른 소수민족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경제 부분도 중국이 감당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홍콩 국내총생산(GDP)은 중국 전체의 4%에 불과, 주권반환 당시 20%에 비해 급격히 줄었다. 선전, 광저우 등 주변 지역이 홍콩을 대신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28일 오후 서울 중구 외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위안화를 세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확산으로 혼란스러운 국제 정세도 홍콩보안법을 강행하는 데 도움이 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은 치러야 할 지정학적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분석했다. 홍콩 행정 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전인대가 홍콩보안법을 통과시킨 것은 필요하고, 또 긴박했다”며 지지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날 홍콩 의회와 도심에서는 반중국 정서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국가법(國歌法)을 심의하던 홍콩 입법회에서는 테드 후이 민주당 의원이 앤드루 렁 입법회 의장을 향해 “썩은 것은 화초가 아니라, 우리의 법치와 가치”라고 외치며 썩은 화초가 담긴 비닐봉지를 던졌다. 홍콩 도심 곳곳에서도 반대 시위가 벌어졌다. 중심가인 랜드마크 쇼핑몰에서 시위대 100여명이 “광복홍콩 시대혁명”, “홍콩독립” 등 구호를 외쳤다. 이날 시위 규모는 예상에 못 미쳤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지난해 홍콩 사태 피로감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홍콩보안법 제정으로 홍콩의 정치적 자유가 타격을 받게 된 만큼 반중 시위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홍콩 재야단체 등은 다음 달 4일 ‘톈안먼(天安門) 시위’ 기념집회, 7월 1일 주권반환 기념집회 등을 통해 반대 집회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회 내부적으로도 중앙정부에 대한 반감이 커질 대로 커진 상황이다. 지난해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반대시위에 100만∼200만명의 시민이 참가한 것도 이를 방증한다. 중앙정부의 강압적인 중국화 정책에 대한 반감이기도 하다. 홍콩이 중국 본토에 회귀된 후 홍콩 인구 13%에 이르는 100만명의 본토인이 몰려들면서 홍콩 집값을 상승시키고, 젊은이들의 취업 자리를 꿰찼다고 보고 있다.

 

베이징=이우승 특파원 ws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