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솔트레이크시티 ‘어게인 2002’ 꿈꾸는데… 방치된 평창

입력 : 2018-12-18 21:21:30 수정 : 2018-12-18 21:21:3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사후관리 미비… 애물단지 된 올림픽 시설 / 100% 활용 美 솔트레이크시티 / 리모델링해 여름 레저활동 활용 / 국가대표·일반인 연습장 개방도 / 올림픽 계기 사계절 관광 명소로 / 손 놓은 9개월… 초라해진 평창 / 대회 후 사후관리 비용 누락시킨채 / 619억 흑자 ‘경제 올림픽' 자화자찬 / 예산난에 활용은 커녕 운영도 못해
2002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미국 솔트레이크시티가 2030 동계올림픽 개최에도 도전장을 내밀 전망이다.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이던 유타올림픽오벌이 국가대표 및 일반인의 연습장으로 활용되는 모습. 솔트레이크시티=안병수 기자, 연합뉴스
200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미국 솔트레이크시티가 ‘어게인 2002’를 꿈꾸며 다시 한 번 들썩이고 있다. 올림픽 시설의 사후 관리가 미비해 ‘애물단지’로 전락한 평창이 곱씹어야 할 대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00% 팔색조 활용… 콘텐츠의 ‘위력’

미국올림픽위원회(UOC)는 2030년 동계올림픽 개최 도전에 나설 전망이다. UOC는 네바다주 리노와 콜로라도주 덴버, 그리고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를 개최지 후보로 올려놓았다. 이 중 솔트레이크시티의 경쟁력이 가장 돋보인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올림픽에 쓰인 16개 경기장이 고스란히 남아 활용되고 있고, 일부는 보수 작업까지 거친 덕분에 올림픽을 재개최할 경우 저비용 고효율의 효과를 제대로 낼 수 있다는 평가다.

쇼트트랙 경기 중 이른바 ‘할리우드 액션’으로 김동성의 금메달을 가로챈 안톤 오노 사건으로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은 국내 팬들의 아쉬움이 많았던 대회다. 그러나 미국에선 성공적 올림픽 개최의 표본이다. 20만명이 채 되지 않는 소규모 도시가 올림픽을 계기로 사계절 관광 명소로 재탄생했기 때문이다.

일례로 스키점프장이던 올림픽 파크시티는 점프대 아래에 간이 풀장을 설치해 겨울 시설을 여름 레저 활동용으로 바꿨다. 리모델링을 최소화한 ‘발상의 전환’이다. 또한 빙속 경기가 열린 유타올림픽오벌은 국가대표와 일반인들의 연습장으로 쓰인다. 올림픽 시설 관리 단체인 유타올림픽레거시 재단에 따르면 올림픽 ‘관광 코스’를 찾는 사람은 연간 155만명으로 추산된다. 마크 노먼 재단 부회장은 본지 인터뷰에서 “올림픽 시설을 시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오롯이 돌려줘야 한다. 대중의 구미에 맞는 프로그램 역시 끊임없이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평창올림픽이 끝난 뒤 철저히 방치된 쇼트트랙·피겨스케이팅 경기장 강릉아이스아레나. 솔트레이크시티=안병수 기자, 연합뉴스

◆허울뿐인 ‘흑자’ 올림픽, 대책 마련 시급

반면 지난 3월 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모두 끝난 평창은 약 9개월이 흐른 지금에도 대책을 찾지 못해 연신 도마에 오른다. 정부는 대회가 끝난 직후 619억원의 흑자를 낸 ‘경제 올림픽’이라며 자화자찬했다. 개최 비용으로 약 13조원을 투입했지만 총수익이 이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그러나 셈을 따질 때 사후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고스란히 누락시켰다.

대회가 열렸던 경기장 대부분은 예산 부족으로 운영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지난해 12월 한국산업전략연구원이 강원도의 의뢰를 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림픽 경기장 12곳을 운영하는 데 연간 313억원이 들고, 기대수익은 171억원에 그쳐 연간 142억원의 적자가 예고됐다. ‘참사’가 뻔한데도 특단의 조치가 없었다. 현재 스키점프센터와 슬라이딩센터 등은 막대한 적자를 상쇄할 묘책을 찾지 못해 이용 계획이 전무하다. 이에 지난달 남자 스켈레톤 금메달리스트인 윤성빈 등 썰매 대표팀은 “국내에서 훈련할 곳이 없다”고 토로한 뒤 해외 전지훈련을 떠났다.

가까스로 사후 관리 계획을 세운 시설 역시 지금껏 방치된 건 마찬가지다. 강릉 아이스아레나는 내년 5월부터 운영주체가 강릉시로 이관되며 개·보수 작업을 통해 강릉실내체육관으로 거듭난다. 그렇지만 올림픽 이후 가수 나훈아의 콘서트장으로 1회만 쓰인 게 고작이다. 신축 경기장인 정선 알파인 스키장은 대회가 끝난 뒤 산림으로 복원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시설을 존치하자는 체육계의 반대에 부딪혀 이마저도 불투명하다. 유지곤 한국스포츠개발원 수석연구원은 “평창올림픽 시설은 어느 한 곳이 감당하기 어려운 규모다. 중앙정부와 강원도, 평창과 강릉 등 3개 기관에서 긴밀한 협업을 통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꼬집었다.

안병수 기자 r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