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정미 의원(정의당)이 기상청에서 제출받은 ‘규모 3.5 이상 지진의 지진조기경보시스템 자동 활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감사원 특정감사에서 미탐지율 80% 이상으로 드러난 지진관측소 10곳 중 2곳은 지진 미탐지율이 여전히 50%를 넘었다. 미탐지율이 50%를 초과한다는 건 지진이 났을 때 지진파를 포착할 때보다 놓칠 때가 더 많다는 의미다.
미탐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청주관측소로 미탐지율이 67%에 달했다. 청주관측소는 2016년 11월부터 운영돼 아직 2년도 채 되지 않은 곳이다. 그런데도 2017년 1월 이후 발생한 규모 3.5 이상 지진 9건 중 3건만 탐지했다.
![]() |
지난 2월 11일 경북 포항에서 규모 4.6 지진이 난 이후 포항시 북구 장성동 한 건물에서 부서진 외벽 조각이 땅에 떨어져 있다. 연합뉴스 |
각각 2015년 9월, 2016년 12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거문도관측소와 강릉관측소는 미탐지율이 33%로, 지진 3건 중 1건을 놓쳤다. 기상청은 “지진 자체가 미탐지된 것이 아니라 신호 대비 잡음이 많은 경우 자동분석 과정에서 활용되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진관측소가 여러 차례 지진을 탐지하지 못하면 관측환경 자체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감사원이 발표한 ‘기상예보 및 지진통보 시스템 운영실태’ 감사 결과를 보면 경주지진 시 지진을 관측하지 못한 영천 덕정리관측소 등 3개 관측소가 정상적으로 관측했을 경우 지진 탐지시간은 2.679초 당겨지고 진앙 위치 오차도 0.6㎞ 정확해질 것으로 분석됐다.
지진관측소의 잦은 고장도 문제다. 이정미 의원이 제출받은 ‘2012∼2018년 지진관측장비 고장 및 복구 현황’에 따르면 지난 7년간 관측장비는 총 547번 고장을 일으켰다. 관측장비가 제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월평균 6∼7회 일어난 셈이다.
수리시간이 100시간을 넘는 경우도 6번 있었다. 최장 수리시간을 기록한 곳은 철원관측소(강원)로 171시간 30분이 걸렸다. 이 의원은 “기상청의 지진관측장비 운영은 감사원 지적 이후에도 나아진 바가 없다”며 “기상청은 장비의 품질관리 및 운영관리 등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