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7일(현지시간) 북한 방문을 마치고 떠나기 위해 평양 순안국제공항에서 비행기에 오르고 있다. 평양 AFP=연합뉴스 |
앞서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큰 틀에서의 원칙적 합의는 이뤘지만 비핵화 완료 시점과 사찰 및 검증을 비롯한 구체적 이행 방식에 대한 협의는 미뤄놨다.

폼페이오 장관은 7일 회담을 마친 뒤 ‘비핵화 시간표와 대량파괴무기(WMD) 및 미사일 시설 신고에서 의견 접근을 이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는 그 두 가지 사안에 관해 얘기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면서 “어떤 부분에서는 상당한 진전이 있었으나 다른 부분에서는 여전히 해야 할 일이 더 있다”고 말해 이견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에서는 “(대북)제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동의한 대로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북한의) 비핵화(FFVD)가 이뤄질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다시 북한을 압박했다.
![]() |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이 7일 자신의 트위터에 공개한 사진으로,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과 회담 중인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오후 1박2일의 방북 일정을 마치고 평양을 떠났다. 뉴시스 |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7일 담화를 통해 “미국 측은 싱가포르 수뇌 상봉과 회담의 정신에 배치되게 CVID요, 신고요, 검증이요하면서 일반적이고 강도적인 비핵화 요구만을 들고 나왔다”고 비난했다. 그러자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의 요구가 강도 같은 것이라면 전 세계가 강도”라고 반박했다.
결과적으로 이번 협상은 양국 간 비핵화에 대한 입장차만 확인하는 수준에 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 |
6일 오후 평양 순안공항에 방북한 미국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전용기가 보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이번 북·미 협상 결과를 놓고 “북한이 시간끌기로 가는 것 같다”며 “협상 판을 깨는 대신 자기들이 원하는 단계적·동시적 비핵화를 통해 미국과 장기간 협상하겠다는 것이고 협상의 주도권 확보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의 시간끌기 배경으로 신 센터장은 “올해 1월만 해도 자기들이 급하니까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왔지만 세 차례의 북·중 정상회담을 통해 대북제재가 종전 같지 않고 자신들이 미국과 오랜 기간 협상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어느 정도 조성됐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민서·김예진 기자,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