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뉴스+] "기존 질서는 없다"… 거침없는 트럼프의 '리셋'

입력 : 2018-03-12 19:03:36 수정 : 2018-03-12 22:57:3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北·美 정상회담 수락한 ‘거래의 기술’ / 기후협정 탈퇴·FTA 재협상 등 취임 후 기존질서 깨며 파격 행보 / 엘리트 인정않고 지지층만 겨냥 / 김정은과의 ‘햄버거 점심’ 공약 / 북한과의 ‘통 큰 거래’로 이어져
도널드 트럼프(얼굴) 미국 대통령이 ‘국제사회 리셋(재설정) 단추’를 거침없이 누르고 있다. 단추 누르기는 지난해 취임 이후 파리기후변화 협정 탈퇴, 각종 자유무역협정 재협상 내지 폐기 시사, 쿠바 및 이란과 관계 재설정, 이스라엘 수도로 예루살렘 인정을 거쳐 북·미 정상회담 수락으로 이어졌다.

국제사회를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설정 단추는 기존 질서를 인정하지 않는 그의 ‘거래의 기술’에 맥이 닿아 있다. 그는 거래의 기술과 관련해 “내가 거래를 성사시키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며 “목표를 높게 잡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전진을 거듭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지난 8일 오후 잇따라 발표된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고관세 부과와 북·미 정상회담 제안 수락 방침도 이런 시각의 연장에서 이해될 수 있다. 동시에 기존 엘리트를 인정하지 않고 지지층을 염두에 둔 행보로도 해석된다.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고관세 부과는 유럽연합(EU) 등의 반발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기꺼이 제조업 종사자들을 향해 손을 내민 것이다. 기존 질서 파괴 속에 대선 당시 지지층을 겨냥한 약속이었다.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기로 한 것은 더 강력한 파격이다. 북한과 접촉은 그간 공화당보다는 민주당 정권이 주도했으며, 그나마 북한과 직접 접촉한 인사들도 전직이었다는 점에서 상상하기 힘든 상식의 파괴에 해당된다. 그간 북한은 적성국가이면서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에 방해가 되는 나라였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이국 대통령을 면담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그런 북한의 지도자와 대좌를 하겠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선언이다. 일부에서 제기되는 준비 부족 비판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지 않았다는 지적도 마찬가지다. 그에게는 북한과 접촉은 ‘통큰 거래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1년 남짓한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이 보여온 국제문제 시각에 따르면 북·미 정상회담은 뒤집을 수 없는 국민적 약속이기도 하다. 그는 취임 이후 북한과 ‘말의 전쟁’을 펼치기는 했지만, 대선 과정에서 김 위원장과 ‘햄버거 점심’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사례에서도 당선 이후 지지층을 겨냥한 약속은 지킨다는 이미지를 만들어왔다. 지난 대선과정에서 주창했던 무슬림 일시 미국 입국 금지와 미국 제조업 부활 약속 등은 일부 형식을 달리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는 30년 넘게 부동산재벌과 TV 리얼리티 프로그램 진행자로서 살아오면서 거래의 기술에 능통하다는 이미지 구축에 몰두했다. 그가 5월 북·미 정상회담에서 드러내 보일 협상 내용과 태도가 유독 관심을 사는 이유이다.

워싱턴=박종현 특파원 bali@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수지 '치명적인 매력'
  • 수지 '치명적인 매력'
  • 안유진 '순백의 여신'
  • 고민시 '완벽한 드레스 자태'
  • 엄현경 '여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