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외신 등에 따르면 남호주 주정부는 올해 안에 100㎿h 규모 ESS를 설치하기 위해 1억1500만달러를 투자한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배터리 제조사들이 호주 ESS 구축 사업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통신은 삼성SDI, LG화학 등 한국 배터리 제조사 뿐 아니라 테슬라, 그린스미스 등이 호주 ESS 사업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의 치열한 경쟁으로 ESS 가격이 떨어지면 신재생과 ESS의 조합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배터리 제조사들에게는 ESS 설치 뿐 아니라 전압 등을 관리하는 핵심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호주의 에너지 및 기후 관련 정책은 10여년에 걸친 정치적 교착 상황 때문에 전력과 가스 부족, 에너지 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남호주 주의 경우 풍력과 태양광이 전체 전력의 44%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1년 간 심각한 정전 사태를 겪어왔다.
따라서 남호주 주의 전력 문제를 ESS가 해결할 경우 호주 전체는 물론 인도네시아, 필리핀, 칠레 등 아시아권으로 확대될 수 있다.
ESS는 석탄에너지 발전소에 비해 빠른 가동과 중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풍력이나 태양광 등 간헐적인 에너지원의 경우 이를 뒷받침할 에너지원의 유연성이 높아야 한다. ESS가 주목받는 이유다.
미국 에너지업체 AES에너지스토리지의 글로벌 세일즈 담당자는 “남호주는 ESS에 있어 ‘퍼펙트 스톰’의 기회”라고 말했다. AES는 호주 등 7개국에서 ESS를 설치했거나 설치하고 있다.
남호주 주정부는 10여개국에서 90여건의 입찰 의향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현일 기자 cona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