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내 ‘스마트 팜’ 기술 현장보급 4년차

관련이슈 농어촌이 미래다-그린 라이프

입력 : 2017-02-14 19:55:48 수정 : 2017-02-14 19:55:4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농어촌이 미래다-그린라이프] 농촌경제연, 운영실태 분석 우리나라의 스마트 팜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1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스마트 팜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업분야의 정보통신기술(ICT) 융합기술 수준은 최고 기술 보유국인 네덜란드에 비해 65%(2014년 기준) 수준으로 약 9.8년의 기술 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IT 강국으로 꼽히는 우리나라이지만 미국, 유럽, 일본 등 농업 선진국에 비해 농업 분야에서는 이런 기술과의 융·복합이 늦었기 때문이다. 

전북 김제에서 토마토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박문신(49)씨가 스마트폰으로 재배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2009년 사이 센서를 활용한 최적 생장환경 구현과 전자태그(RFID)를 활용한 이력추적시스템 등 IT 기술과 농업을 융합한 사업이 실시됐지만 소규모 실증실험 단계에 머물렀다. 2013년에야 스마트 팜 보급, 연구개발(R&D),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이 포함된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대책’이 마련됐고, 이듬해부터 스마트 팜의 현장 확산이 추진됐다.

현장 보급 4년 차인 현재 우리나라의 스마트 팜은 인터넷과 네트워크 연결, 온실 자동제어, 원격지 장치제어 등 1세대 스마트 농업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농업인이 영상을 보고 온실을 제어하는 수준이다. 온·습도 등 기상환경과 온실 내 이산화탄소 조절 등에 머무르고 있다. 장치제어 역시 창문 개폐, 환기 조절 등이 대부분이다.

유럽과 미국, 일본 등 스마트 팜 선도국의 경우 복합적인 환경 제어가 가능하다. 빅데이터 분석과 영농의사 결정 지원서비스까지 더해진 2세대와 지열·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과 최적제어기술 적용, 로봇·지능형 농기계 도입 등 3세대까지 나아가 있다.

연구원은 스마트 팜 보급 확산을 위해 △국가 차원의 스마트 농업 전략 수립 △환경 기반 마련 △R&D의 확대와 강화 △현장 맞춤형 보급 모델의 수립과 추진 등으로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도약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정우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수지 '하트 여신'
  • 탕웨이 '순백의 여신'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