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불교사회연구소, 호국불교연구 학술세미나 개최

입력 : 2016-11-19 03:00:00 수정 : 2016-11-18 14:35:5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조선시대의 국가와 불교’ 주제로 발제 및 토론…호국불교 조명 흔히 숭유억불정책으로 알려진 16세기 승정체제의 개혁은 국가체제 정비와 국가재정 확충을 위한 정책으로, 국가가 불교계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고전번역원 손성필 선임연구원은 지난 16일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서울 중구 동국대 불교학술원에서 개최한 ‘조선시대의 국가와 불교’라는 주제의 호국불교연구 학술세미나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발제에 나선 한국고전번역원 손성필 선임연구원.

‘16세기 조선의 정치·사회와 불교계’를 주제로 발제에 나선 손 연구원은 “16세기를 포함한 조선시대 불교사를 논할 때 불교정책의 향배에 따라 불교계가 부침했다는 해석이 통용돼 왔다”며 “그런데 조선시대에 시행된 여러 불교정책은 그 목적, 대상, 실효성 등이 정책별, 시기별로 달랐다”고 전제했다.

그는 “불교정책은 불교라는 사상과 관련된 일련의 정책이라는 의미지만 현실에서 불교정책의 대상은 승정체제, 사찰, 승려 등으로 대별된다”며 “이 대상들에 대한 각 정책들은 물론 상호 관련성을 지녔으나, 각각 다른 목적에 따라 시행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손 연구원은 “지금까지 승정체제 개혁으로 선교양종 소속 36개 사찰 외에는 철훼되거나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이해돼 왔다”며 “그러나 승정체제 개혁은 면세전인 사원전을 감축하고 사노비를 환수한 것으로 각 사찰에 따라 시납전, 사전, 시주와 같은 사적 경제 기반을 통해 존속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16세기에는 적어도 1650여곳 이상의 사찰이 조선사회에 고르게 분포한 기관으로 있었을 것이다”며 “당시 향촌 사회에서도 일정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승려 또한 마찬가지라는 지적이다. 승려가 국가로부터 일방적으로 억압을 당했다는 일반적 이해와 달리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부류의 승려가 있었으며, 각 부류에 대한 국가 정책도 달랐다는 것.

손 연구원은 “승직자, 도첩승 등의 승정체제 소속 승려는 국가체제 개혁을 위해 승정체제와 함께 개혁하고자 했다”며 “국가가 승려로의 출가를 규제했던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이 불교의 추종자라서가 아니라 농사에 종사하지 않고 군역을 부담하지 않는 계층이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종대에 도첩제가 폐지됐는데, 승려가 증가하자 대책 마련에 부심했으나 적절한 대책을 도출하지 못했다”며 “명종대에 승려를 대가 없이 동원하게 됨에 따라 도첩제는 사실상 무력화됐고, 승려는 승려라는 지위로서 국가체제에 편입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나아가 임진왜란을 계기로 승군 동원은 정례화 됐고, 이후 호적에도 등재되면서 국가체제에 완전히 편입됐다. 그리고 이 시기의 불교계는 인적, 물적 기반을 토대로 다량의 불서 간행은 물론, 여말선초의 전통을 계승해 새로운 전통을 창출하고 있었다.

그는 “이처럼 사찰에 대한 관리와 지원은 중단됐지만 승정체제의 복구를 향한 정치권 내의 논의가 끊임없이 이어졌고 승려의 숫자는 오히려 증가했다”며 “일반적으로 승정체제 개혁으로 사찰들이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하지만 국가로부터 일방적 억압을 당했다고 여겨지는 승려는 부류에 따라 달랐고 규제제도의 효과도 미미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16세기 국가와 불교계에 대한 이해는 기존 관점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앞으로 보다 엄밀한 분석과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며 “승정체제, 사찰, 승려에 대한 국가의 정책을 모두 불교에 대한 억압 또는 이념에 의한 탄압으로 치환해 버리는 연구 태도는 지양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한국교원대 이병희 교수는 ‘조선 초기 불교계의 보(寶) 운영과 그 의미’라는 주제의 발제를 통해 미곡이나 포, 화폐를 대여해 주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뒤 원본과 이자를 상환 받는 ‘차대(借貸)’를 통해 국가와 불교의 관계를 조명했다.

이 교수는 “조선 초기 불교는 ‘보(寶)’로 사찰의 특정 불사를 조성하고 민생의 경제적 도움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며 “다만 국가의 개입으로 높은 이자율과 숭유억불정책의 시행으로 쇠퇴하기 시작해 차대를 둘러싸고 국가와 불교의 길항관계가 형성됐고 불교 영역이 위축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크게 보면 국가가 우위에 서 가는 관계로 이는 공적 영역의 확대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며 “시야를 좀 더 확대해 본다면 세속 사회 영향력의 증대과정으로, 불교라는 종교 영역의 축소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밖에 동국대 불교학술원 김용태 교수가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과 불교의 길항관계’, 순천대 이종수 교수가 ‘19세기 국가권력과 불교’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토론에는 대전대 장지연 교수, 숙명여대 정병삼 교수, 중앙승가대 김상영 교수, 동국대 노대환 교수가 참여했다.
불교사회연구소가 주최한 호국불교연구 학술세미나 전경.
이날 학술세미나는 ‘숭유억불(崇儒抑佛)’이라는 단어로 요약되는 조선왕조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을 살펴보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와 관련,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장 법안 스님은 “현 연구 상황에 맞춰 조선시대 정부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학술세미나를 기획했다”며 “세미나를 통해 조선시대 국가와 불교 관계의 실상, 관계 형성의 역사적 배경, 그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현태 기자  jknewsk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