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6년 6월까지 최근 5년 동안 ADHD 치료제 성분인 ‘메틸페니데이트’의 처방 건수는 약 10% 감소했지만 만 16~18세에 해당하는 연령대에서는 모두 두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
이 기간 만 16, 17, 18세 연령대는 ADHD치료 약물의 처방 건수가 각각 19%, 37%, 64% 증가했다. 특히 만 18세의 경우 수능을 앞둔 10월 청구금액이 평소 대비 크게 증가해 이때 처방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18세 환자의 ADHD 치료제 청구금액은 지난해 10월 기준 약 9021만원으로 가장 낮은 달인 2월(약 4725만원)에 비해 약 2배가량 많았다. 수능 이후인 11월(약 5839만원)과 12월(약 5589만원)에는 처방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들을 포함한 만 19세 미만의 미성년자에게 처방된 ADHD 치료 약물 총 청구금액은 성인의 13배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유나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