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4년간 서울에서 아파트 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입력 : 2016-07-12 16:38:38 수정 : 2016-07-12 16:38:3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 2012년 말 대비 서울 호당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5000만원 가량 올랐다. 자치구별로는 강남이 서울 평균 매매가격 보다 3배 이상 올랐고, 특히 송파 재건축 아파트는 6배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말 대비 서울 아파트값 많이 오른 곳은, 강남3구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대책들이 이어졌다. 취득세·양도세 감면 등의 대책이 발표됐고, LTV·DTI 규제를 완화해 대출한도를 높였다. 또 청약통장 가입자의 신청 자격을 넓혔으며, 재건축 연한 단축·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유예 등 재건축 규제 완화 등의 대책도 발표가 됐다.

연이은 규제 완화와 함께 저금리 기조, 전세난 등으로 매매 전환수요가 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007년 이후 7년만에 오름세(2014년 2.13%)로 돌아섰고 지난해에도 5.58%나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타면서 호당 평균 매매가격도 2012년 말 대비 5000만원 정도 올랐다. 특히 강남3구로 불리는 △강남(1억5701만원) △서초(1억3323만원) △송파(1억1302만원) 등은 2012년 말 대비 1억원 이상 올라 상승폭이 다른 서울 자치구에 비해 높았다. 실수요는 물론 재건축 단지에 투자수요가 몰린 영향이 컸다.

더불어 강남3구는 그동안 가격 하락이 상대적으로 컸던 만큼 그에 따른 기저효과도 크게 작용했다. 반면 용산은 2009년 용산 참사, 2013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무산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오름폭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재건축의 힘,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3억원 가까이 올라

2012년 말과 비교해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단연 강남3구였다. 이들 지역의 재건축 아파트는 서울 호당 평균 매매가격 상승에 비해 6배 가까운 높은 상승을 보이기도 했다. 2012년 말 대비 송파 재건축 아파트 호당 평균 매매가격은 2억9427만원 올랐고 강남이 2억7250만원, 서초가 2억5379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박근혜정부 들어 재건축 연한 단축·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유예 등 재건축에 유리한 규제가 완화됐고, 이에 따라 재건축을 진행하는 주요 단지들이 급물살을 타면서 투자 수요가 몰렸다.

강남3구 아파트값 상승에는 분양시장의 호조세도 한몫 했다. 강남권 주요 재건축 단지들이 분양에 나서면서 청약 경쟁률도 서울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았다. 2014년 강남3구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25.94대 1인 반면 서울(강남3구외 지역)은 2.23대 1에 그쳤다.

올해도 지난달까지 강남3구는 평균 40.53대 1의 높은 청약률을 나타냈다. 분양가격이 4000만원(3.3㎡당)을 넘어서는 등 고분양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높은 청약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번달부터 시행된 집단대출 규제 여파로 강남권 아파트 분양시장도 당분간 소강상태를 나타낼 전망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중도금 대출 보증을 분양가격 9억원 이하 주택에만 최대 6억원(수도권·광역시는 6억원, 지방 3억원)까지 보증하도록 하고 있어 강남3구 재건축 분양단지들은 대부분 중도금 대출 보증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그나마 불씨가 살아 있던 분양시장마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오피니언

포토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