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집중취재] "항암제로 인한 근육통… 뼈 부서지는 고통에 사는 게 지옥"

관련이슈 암 이후의 삶 홀로 싸우는 사람들

입력 : 2016-07-03 18:38:25 수정 : 2016-07-04 09:22:5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암 이후의 삶] 홀로 싸우는 사람들 / 끝나지 않는 아픔 “요즘 항암제는 잘 나온다고 해서 초기에는 남편이랑 농담까지 주고받으면서 치료를 시작했어요. 자살을 생각하게 할 만큼 후유증이 심할 줄은 꿈에도 몰랐어요.”

2년 전 이맘때 이윤희(37)씨는 샤워 중 가슴에 멍울이 만져져 병원을 찾았다가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8살, 6살밖에 안 된 아이들 걱정에 눈앞이 캄캄했지만 다행히 ‘1기’라는 사실에 용기를 냈다. 젊으니까 눈 딱 감고 치료하면 괜찮겠지 싶었다.

수술 3주 후 항암치료가 시작됐다. 지금은 약이 좋아 고통이 덜하다는 얘기에 안도한 것도 잠시, 항암제를 맞자 상상 이상의 메스꺼움에 속이 뒤집혔다. 두 차례 항암치료에 물 한 모금도 마실 수 없는 지경이 됐다.

병원에서 약을 바꾸자 이번에는 살을 에는 듯한 근육통이 시작됐다. 의사에게 살려 달라고 애원했지만 “항암치료가 원래 힘드니 이겨내야 한다”는 말뿐이었다.

이윤희씨는 유방암 치료 이후 원인 모를 근육통으로 수없이 병원 신세를 져야 했다. 이씨는 “아플 때 찍은 거의 유일한 사진”이라며 링거를 맞고 있는 손 사진을 보내 왔다.
이윤희씨 제공
그렇게 항암치료에 이어 지난해 1월 방사선치료를 마친 그는 병원 매뉴얼대로라면 정기적으로 추적관찰만 받으면 될 정도로 건강이 호전됐어야 했다. 그러나 근육통은 이씨를 놓아주지 않았다.

“하루 종일 몽둥이로 두들겨 맞고 온몸의 뼈가 부러지는 느낌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잘 때도 헛소리를 하다 도저히 못 참겠으면 응급실부터 찾았다. 제대로 입원 진료를 받고 싶었지만 암 후유증만으로는 입원실 잡기가 무척 어려워 응급실을 거쳐 입원해야 했다. 그래봐야 모르핀 주사를 맞는 게 전부였지만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견딜 수 없었다. 어린 두 아이가 지켜보는 앞에서 이씨는 고통에 신음하며 누워있는 일밖에 할 수 없었다. 결국 근육통에 덤으로 얹어진 우울증과 불면증은 갈수록 심해졌다.

“‘우리 아이들에게 아무것도 못 해주고 아픈 모습만 보여줄 바에야 차라리 없어지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자연스레 들더라고요.”

클릭하면 큰 그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때부터 우울증과 불면증 약을 처방받아 복용했다. 진통제도 한 가지로는 효과가 없어서 4종을 동시에 삼켰다. 위장 보호와 소화불량 해소를 위한 약까지 먹게 됐다.

이씨는 “약이 약을 불러 나중에는 한꺼번에 8가지 약을 먹게 됐다”며 한숨을 지었다. 급기야 통증을 줄이는 부교감신경차단술을 두 차례 받았지만 소용없었다. 이 와중에 유방암뿐 아니라 난소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전자가 있다는 검사 결과가 나왔다.

“일가친척 누구도 암에 걸린 사람이 없는데 하필 제게 그런 유전자가 있다니 원망과 좌절감만 쌓이더라고요.”

이윤희씨가 유방암 치료 이후 원인 모를 근육통을 겪으며 처방받은 약. 이씨는 8가지 약을 한꺼번에 복용하기도 했지만 별다른 약효가 없었다고 한다.
병원에서는 난소암은 발견되는 순간 말기라며 난소 제거 수술을 권했다. 간단한 수술이었지만 이씨는 또 다른 후유증을 겪을까봐 거부했다. 난소를 제거하면 생리가 끊기고 근육통과 손발저림 등의 갱년기 증상이 나타난다고 들어서다.

이씨는 “난소암은 초기 발견이 어렵다는데도 수술 후유증이 더 두려웠다”며 “근육통 외에 어떤 부작용이 생길지 모르고 난소 제거도 어차피 예방 차원인 만큼 그냥 스스로 알아서 예방하기로 마음먹었다”고 털어놨다.

근육통의 악몽은 지난해 가을 참여한 암 극복 힐링캠프를 통해 서서히 지워졌다.

암 생존자라는 연결고리 하나만으로 모인 사람들끼리 속내를 털어놓고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불안감도 누그러졌다. 특히 임상심리 전문가를 통해 자살 생각이 들 때 사고를 전환하는 법, 복식호흡과 명상을 하며 심리적 안정을 찾는 방법 등을 배운 게 도움이 됐다. 이렇게 매주 두 차례씩 6주간의 프로그램을 마칠 때쯤 신기하게도 근육통이 잦아들었다. 아직도 우울증 약을 복용하고 근육통도 남아있지만 가벼운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됐다. 이씨가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무심한 기계적인 진료에 크게 실망한 이유이다.

“암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누구도 제 몸과 마음 상태를 살펴주지 않는 점이 가장 힘들었어요. 치료가 잘 끝났다는데 왜 이렇게 오래도록 아픈지,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습니다.”

클릭하면 큰 그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씨의 경험은 암 진단과 치료,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 쪽에 치우친 우리나라 암 관리 체계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충북대병원 박종혁 교수(예방의학)는 “암이 사형선고나 다름없던 시대와 달리 암 치료율이 70%까지 육박한 지금은 환자들의 치료 이후 삶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암 생존자 문제를 더 이상 당사자에게만 맡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특별기획취재팀:윤지로·김유나·이창수 기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환자들의 이름은 가명을 썼습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