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경기연구원의 '경기순환버스 5년 평가와 향후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경기순환버스는 현재 8106번(부천-성남) 17대, 8109번(성남-고양) 16대, 8407번(고양-군포) 9대, 8409번(수원-의정부) 11대, 8906번(양주-안양) 10대가 운행 중이다.
경기순환버스는 청계·성남·구리·불암산·양주·김포·시흥 요금소에서 환승할 수 있다.
2010년 8월 운행을 시작한 이후 하루 평균 1만3천여명이 이용하고 있다.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10월 일일 승객 1만2천279명을 노선별로 분석해보니 부천-성남 간 8106번이 3천905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성남-고양 간 8109번 3천234명, 고양-군포 간 8407번 1천913명, 수원-의정부 간 8409번 1천741명, 양주-안양 간 8906번 1천486명 등 순이었다.
경기순환버스와 전철 이용 시 통행시간을 비교했더니 경기순환버스가 평균 16분 빨랐다.
노선별로는 8106번(부천-성남)이 26분, 8109번(성남-고양)이 10∼21분, 8407번(고양-군포)이 31분, 8409번(수원-의정부)이 28분 빠르며 유일하게 8906번(양주-안양)이 전철보다 15분 느렸다.
전철 대신 경기순환버스를 이용할 때 얻게 되는 시간가치 절감 효과는 5년간 317억원이며, 이는 연간 63억원 수준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전철과의 시간 경쟁에 경기순환버스가 우위를 점하려면 노선 직선화, 정류장 추가 설치, 지하철·전철역과의 환승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출퇴근 상습정체 요금소인 구리·성남·청계 요금소 전후 1km 구간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고 요금소 가장자리 차로에 하이패스를 추가 설치하면 환승 정류장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원잠 vs 핵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32.jpg
)
![[주춘렬 칼럼] 韓·美 관세협상의 그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11.jpg
)
![[기자가만난세상] ‘인간 젠슨 황’의 매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85.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섬길 줄 알아야 신뢰를 얻는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38.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