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면세점 새내기 두산… 명품 유치 속탄다

입력 : 2016-01-18 19:41:46 수정 : 2016-01-18 22:15:0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5월 개장인데… 브랜드 확보 난항/ 폐점 SK면세점 부분인수 추진 지난 연말 부분 개장한 신생 면세점들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해외 명품 브랜드 유치다. 이 가운데 가장 속이 타 들어가는 곳은 5월 오픈을 앞둔 두산그룹이다. 과거에도 일부 사업자들이 사업권을 반납했을 정도로 명품 브랜드 유치가 어려운 상황에서, 두산은 기존 사업자들과 달리 면세점 운영 노하우가 없다는 게 걸림돌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면세점은 주요 명품 브랜드 10∼15개가 전체 매출의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매출에 절대적이다. 새로 면세점 전쟁에 뛰어든 신생 사업자들이 샤넬, 루이뷔통, 구찌 등 ‘3대’ 명품을 비롯한 주요 브랜드 유치에 매달리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두산은 사업권을 상실한 SK면세점으로부터 인력과 창고 등 사업 일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물밑에서 논의 중이다. 후발 사업자의 단점인 브랜드 확보와 면세점 노하우 등 ‘두 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겠다는 포석이다. 그렇더라도 명품 브랜드 유치가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A명품 브랜드 관계자는 “현재 신라면세점과 갤러리아백화점에 우리 브랜드가 입점해 있다고 해서 ‘신라아이파크면세점’과 ‘갤러리아면세점63’에 입점해야 하는 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오히려 일각에서는 AK, 한진 등 과거 면세점들이 사업권을 반납한 전례를 들어 유통 경험이 전무한 두산의 명품 브랜드 유치전이 어려울 것이라는 부정적 시각이 많다. 실제 면세·유통업을 해온 신라아이파크와 갤러리아면세점63도 대표적인 유명 브랜드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현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2007년 당시 미 건설장비 회사 밥캣(Bobcat) 인수는 유동성 위기를 불러왔다. 밥캣 인수로 인한 두산인프라코어의 차입금은 약 6조원에 달하고 매년 3000억원 이상의 이자비용이 발생했다. 두산이 면세점 사업으로 눈을 돌린 것도 중공업 계열사 등의 실적 악화 등으로 재무사정이 녹록지 않아서다.

김기환 유통전문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나연 '깜찍한 브이'
  • 나연 '깜찍한 브이'
  •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케플러 강예서 '시크한 매력'
  • 솔지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