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대통령이 14일 오전 세종시 세종컨벤션센터 4층에서 열린 2016 정부업무보고에 참석하기 위해 행사장에 들어서고 있다. 박 대통령 왼쪽은 황교안 국무총리, 오른쪽은 유일호 신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청와대사진기자단 |
정부는 새만금 한중 산업협력단지를 중국 진출의 전진기지로 삼아 중국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로 했다. 통관기간을 단축하는 등의 방식으로 김치, 쌀과 김, 어묵, 연어 등 ‘프리미엄 농수산식품’의 수출 문턱도 낮출 계획이다. 화장품, 식료품, 생활용품, 유아용품, 패션의류 등 5대 유망 소비재 업종에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을 지원한다.



정부는 수출구조와 지원체계를 전면 혁신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세계 경제의 침체가 장기화하면 전 세계 교역량이 줄 수밖에 없어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직격탄인 만큼 원점에서 전략을 새로 짜야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해외산업단지 조성, 미래성장동력 선택과 집중 등 신산업전략을 추진한다.
내수는 작년 마지막 분기에 회복세로 돌아선 기세를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특히 지난해 내수 회복을 위해 실시된 개별소비세 인하와 같은 대형 소비진작책이 끝나면서 연초에 나타나고 있는 ‘소비절벽’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정부는 우선 1분기 재정 조기집행의 규모를 작년보다 8조원 확대한다. 공공기관 투자 6조원, 연기금 대체투자로 10조원을 추가로 쏟아붓는다. 지난해 내수 회복을 위해 도입한 코리아 그랜드 세일, 코리아 블랙프라이 데이 행사를 올해에도 열어 외국인 관광객들의 소비를 촉진할 계획이다.
구조적인 소비 제약에는 가계소득 증대세제를 보완하고 주택·농지연금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공공임대 주택, 주거 급여, 전월세·구입자금 지원 등으로 모두 113만가구에 혜택을 주기로 한 것도 서민주거 안정을 도모해 소비 여력을 확충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종합적인 외국인 정책을 수립해 생산 가능 인구 감소에 대응하고, 규제프리존 도입과 에너지 등 신산업 분야 투자로 민간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상반기 내로는 서비스경제 발전 전략을 마련해 서비스산업에 대한 규제와 지원 체제를 새롭게 정비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대내외 경제여건이 어려워지면서 기업가정신은 쇠퇴하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의 좌절감이 깊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올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성과를 구체화해 국민 체감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세종=이천종 기자 sky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