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 기준 모호해 혼선 불가피
김무성 18일 신년회견 예정
최경환, 연일 의원들 접촉 주목 새누리당의 4·13총선 공천룰 결정을 둘러싼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영입인사 기준이나 공천방식 등을 둘러싸고 친박(친박근혜)·비박(비박근혜) 간 갈등은 식지 않았다.
새누리당은 총선에 출마할 후보가 영입인사로 분류될 경우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기존 ‘당원 대 국민’ 비율을 30:70가 아닌 100% 국민경선(여론조사)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했다. 당원 조직면에서 열세인 영입인사들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해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정작 누구를 영입인사로 볼지의 기준은 모호하다. 향후 최고위 논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지만 계파별로 생각이 다르다.
![]() |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오른쪽)가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김정훈 정책위의장에게 말을 건네고 있다. 이재문기자 |
최근 김무성 대표가 직접 나서 소개한 6명의 입당인사를 둘러싼 친박계의 견제구는 이렇게 보면 영입인사 분류를 둘러싼 계파 간 전초전 성격이 된다. 김재원 의원은 12일 라디오방송에서 “당 대표가 영입인재라고 발표할 정도라면 국민적인 박수를 받고 기대를 걸 수 있는 뛰어난 사람이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영입인사 공천을 두고도 대립전선이 형성된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인재영입위원장이 공석인 것에 대해 “상향식 공천을 위해 일부러 비워 두었다”고 말했다. 전략공천을 요구하는 친박계에게 선을 그은 것이다. 김 대표는 오는 18일 신년기자회견을 열어 경제활성화 및 노동개혁 등 쟁점법안 처리와 선진화법 문제 등 현안에 대한 구상을 밝힐 예정이다.
이날 경제부총리에서 물러난 친박계 실세인 최경환 의원은 연일 의원들과의 접촉빈도를 늘리고 있다. 최 의원은 오는 13일 재선의원들과 서울시내 모처에서 저녁을 먹기로 했다. 지난 8일 중진의원, 10일 초선의원들에 이어 세번째디.
새누리당은 이날도 국회선진화법 폐기 바람몰이에 나섰다. 당 전략기획본부장인 권성동 의원과 김용남 원내대변인은 이날 라디오방송 등에서 “현재 선진화법 조항하에서는 소수에 의한 다수에 대한 독재가 현실화된 구조”라며 국회법 개정을 촉구했다.
김달중 기자 d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