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파리 유엔기후변화총회 대단원 눈앞에

입력 : 2015-12-11 19:51:36 수정 : 2016-06-27 16:00:5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구온도, 산업화 前비해 2도보다 훨씬 작게 상승’ 목표 제시 1997년 교토의정서를 대신해 2020년부터 적용될 ‘신기후변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2주간의 마라톤협상이 결승선을 향해 바싹 다가섰다.

주최 측이 타결 전망을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가운데 회의 일정이 남은 난제 해결을 위해 12일(현지시간)까지로 하루 연장됐다.

파리에서 열리고 있는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의장국인 프랑스의 로랑 파비위스 외무장관은 11일 BFM방송에 출연해 “합의안은 (애초 폐막일인) 11일이 아니라 12일 아침 제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남았다”면서도 “일은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지구적인 대응책을 촉구하기 위한 집회가 지난 11월 전세계 주요 도시에서 열린 가운데 독일 베를린에서 활동가들이 하트 모양의 초록 풍선 묶음을 들고 거리를 행진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앞서 196개 대표단의 밤샘 협상 끝에 전날 나온 새로운 초안은 산업화 이전 시기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 제한 목표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내용을 담았다.

이 초안은 “장기적으로 상승폭을 섭씨 2도보다 ‘훨씬 작게’ 제한하며, 온도 상승을 1.5도로 억제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이는 ‘2도보다 작게’, ‘2도보다 훨씬 작게’, ‘1.5도보다 작게’ 세 가지 선택지가 제시된 종전 초안보다 압축된 것으로, “(당사국들이) 예상보다 훨씬 야심찬 목표를 설정했다”고 외신은 전했다.

지구 온도는 이미 산업화 이전보다 1도가량 상승한 상태인데, 해수면 상승으로 위기에 처한 나라들이 1.5도 목표치를 주장한 반면, 중동 등 일부 국가는 이런 목표를 달성하려면 농지에 삼림을 조성해야 해 식량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맞서 왔다. 토니 드 브룸 마셜제도공화국 외무장관은 “이제 돌아가서 국민에게 우리의 생존 가능성이 끝난 게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게 됐다”며 만족해했다.

새 초안에는 또 선진국들이 연간 최저 1000억달러(약 118조원)를 기후문제 해결에 투입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각국 대표들은 9일부터 밤새도록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이 과정을 거쳐 29쪽이었던 합의문 초안 분량이 10일 27쪽으로 줄었다. 입장이 서로 엇갈려 괄호로 남겨뒀던 부분은 총회 초기 1609곳에서 9일 361곳, 10일 50곳으로 대폭 줄었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전했다. 파비위스 장관은 “전 세계가 고대하던 야심차고, 법적 구속력이 있으며,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합의까지 이제 마지막 한 바퀴만 남았다”면서 논스톱 협상에 임한 각국 대표단을 독려했다.

그러나 기후변화 대처 비용 분담과 지구적 차원의 청정에너지 전환 문제와 관련해 아직 해소되지 않은 민감한 쟁점이 여럿 남아 있다.

대표적인 것이 선진-개도국 간 ‘차별적 책임’(differentiation) 문제다. 선진국들은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 채택 당시의 선진-개도국 구분 기준에서 벗어나 신흥국들이 온실가스 감축과 후진국 재정 지원의 부담을 나눠 지기를 바란다. 그러나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등의 반대 입장이 강경하다.

또 기후변화 취약국의 ‘손실 및 피해’와 관련해 미국은 “법적 책임 및 보상과 무관한 방식으로 다뤄져야 한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
  • 박은빈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