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는 전날 공개한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이란 제목의 올해 4분기 보고서에서북한을 포함한 33개국을 식량부족국가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북한에 필요한 곡물량은 36만t이지만 북한은 이 중 절반에도 못 미치는 14만2000t만 확보했다.
이는 북한 당국의 수입량 12만7000t과 국제사회의 지원 1만5400t을 더한 것이다.
FAO는 "북한은 올해 초 가뭄으로 봄 작황이 줄었고 여름의 홍수로 함경북도와 나선시의 농지가 물에 잠겼다"며 "북한의 식량 사정이 지난해보다 더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FAO는 북한과 함께 아프리카 국가 26개국과 미얀마, 네팔, 아프가니스탄 등 아시아 국가 7곳을 식량부족국가로 지정했다.
염유섭 기자 yuseoby@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