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0% 올랐다.
지난해 11월(1.0%) 이후 12개월 만에 1%대를 회복한 것으로 미약하지만 경기회복의 신호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소비자물가는 그동안 11개월 내리 0%대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됐다.
 
           여기에 공공요금과 전세 등 서비스부문 물가가 2.2% 상승한 점도 11월 전체 물가를 1.23%포인트 끌어올렸다.
공업제품 물가는 올해 2월부터 9개월 연속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이다가 10개월 만에 보합세(0.0%)로 반전됐다.
내수 회복세가 확대되면서 내구재(2.0%) 가격도 상승하고 겨울이 다가와 여자외투(2.5%) 등 의류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공공서비스 가격도 2.0% 상승했다. 시내버스(9.0%), 전철(15.2%), 하수도요금(14.4%)이 오른 영향을 받았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4% 상승해 11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다. 생활물가는 0.1%의 낮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채소, 과일, 어류 등 신선식품 물가는 3.0% 올랐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아도 장을 보는 소비자들은 이를 피부로 느끼기 어려운 이유다.
한편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소매판매 및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을 포함한 10월 소매판매액은 작년동기대비 6.5% 증가한 32조2810억원으로 작년 12월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세종=이천종 기자 skyle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정미칼럼] 머니 무브의 종착지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47.jpg
)
![[설왕설래] 최장수 사법연수원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60.jpg
)
![[기자가만난세상] 구경당하는 불쾌함에 대하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08.jpg
)
![법정서 ‘여사님’을 붙일 수 없는 이유 [서아람의 변호사 외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4866.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