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
아베 총리의 한국 방문과 한·일 정상회담은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 집권 후 처음이다. 일본 총리의 방한은 2011년 10월 당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의 방한 후 4년1개월, 한·일 정상회담은 2012년 5월 중국 베이징 한·중·일 정상회의 기간 열렸던 양자 회담 후 3년6개월 만이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한·일관계와 관련해 투트랙(Two track·두 경로) 기조를 유지했다. 안보, 경제, 문화 등 여타 분야에서의 다양한 채널 간 협력은 적극 추진하되 한·일 정상회담은 위안부 문제에 연계한다는 것이다. 위안부 문제에 획기적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는 배경에는 역시 미국이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부상에 맞서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려는 미국의 입장에선 냉랭한 한·일관계가 부담이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이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3국 정상회의 재개를 주도하고 있는 것처럼 한·일관계 개선도 우리 정부의 의지라는 평가도 나온다. 봉영식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은 한·일관계 개선은 바라지만 직접 이를 주문하거나 나서는 것은 오래전에 포기했기 때문에 미국 개입론은 과장됐다”며 “이번 한·일 정상회담은 안보 협력 등의 분야에서 적극 나서겠다는 박 대통령의 결단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
日대사관 앞 수요집회 28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202차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이용수 할머니 등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남정탁 기자 |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이번에 대면해도 핵심 현안인 위안부 문제 등에 입장차만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총리의 진전된 메시지를 희망하고 있다. 유흥수 주일 한국대사는 지난 26일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일) 정상회담 전에 해결은 못해도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한국) 국민에게 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
청와대 김규현 외교안보수석이 28일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한·일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 등을 설명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양기호 성공회대 일어일본학과 교수는 “언쟁만 벌이고 끝났던 이 전 대통령과 노다 전 총리의 재판(再版)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내년엔 한·일 모두 선거가 있어 이번이 마지막 기회인데 양국 관계가 악화하지 않으면 다행”이라고 말했다.
김청중·염유섭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