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 경제 활로 ‘도시 인프라’ 수출이 답

관련이슈 서울 도시정책 수출 현장을 가다

입력 : 2015-08-09 18:58:43 수정 : 2015-08-09 18:58:4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 도시정책 수출 현장을 가다] 유례없는 압축성장, 갈수록 위축
투자유치 전략 해외진출로 바꿔야
동남아 등 개도국들 서울에 주목
IT기반 ‘스마트시티’ 블루오션으로
서울은 1960년에 비해 인구는 4배 이상, 소득은 14배 가까이 늘어날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압축성장을 했다. 그러나 성장단계를 지나면서 최근에는 인구와 경제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지속적으로 위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투자유치에서 수출로 바꿔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의 경제성장률은 3%로 국내 전체의 3.3%를 밑돌았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 수년간 지속되고 있다. 국가의 수도이지만 국가경제를 주도하지 못하는 셈이다.

경기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안은 기반시설 등에 대한 대규모 투자다. 그러나 서울은 상·하수도와 도로 등 주요 인프라 구축을 이미 100% 가까이 달성했다. 또 전체 예산에서 복지 분야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는 도시경제의 혁신을 위해 해외진출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각 국가의 경제가 크게 위축돼 자국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본격화하는 시점에서 투자유치 중심의 전략보다는 해외진출 전략이 더 적극적인 측면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도시정책 수출 중 가장 큰 분야는 역시 도시 인프라다. ‘글로벌 인사이트’에 따르면 해외 건설시장의 규모는 2012년 8022억달러(약 936조 원)에서 올해 1만347억달러(약 1027조원)로 성장했다. 이미 선진국과 다국적기업들이 주도권을 쥔 이 분야에서 경험과 재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영향력을 확대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인구가 폭증하는 개발도상국 도시들은 압축성장을 한 서울의 사례에 주목하고 있다. 또 IT(정보기술)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시티 영역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어 가능성이 엿보인다. 이러한 장점을 고려할 때 서울이 도시정책 수출전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집중 살펴볼 국가와 지역은 인구 증가와 성장률은 두드러지지만 각종 기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곳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동남아시아의 경우 지리적·정서적 거리가 가깝다는 점도 접근하기 좋은 곳이다.

김준영 기자 papeniqu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