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적 면역·염증반응 확인”

2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재단법인 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의 이도헌(사진) 교수팀과 미국 스탠리 의학연구소의 김상현 박사 등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우울증과 조현병(정신분열증), 조울증 환자의 사후 뇌 조직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통해 비교 분석했고, 유전자 발현정보를 토대로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 유전자군을 정신질환별로 분류했다. 그 결과 우울증과 조현병, 조울증 환자의 유전자군 모두에서 정상인보다 과도하게 활성화된 면역·염증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아울러 이들 3가지 질환 사이 비정상적인 면역·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군이 서로 다르다는 점도 파악했다.
이 교수는 “이는 우울증, 조현병, 조울증 환자들이 각기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비정상적인 면역·염증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번에 새롭게 발견한 주요 정신질환의 표적 유전자군을 정신질환 치료제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진은 실용화까지는 5∼10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