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신명 경찰청장(가운데)이 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차관회의에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테러사건에 대해 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 = 연합 |
정부는 5일 오전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주최 행사장에서 피습당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당혹해하며 후속 조치를 위해 분주히 움직였다.
![]() |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초청강연회에 참석했다가 김기종 우리마당 대표가 휘두른 흉기에 얼굴과 왼팔 등을 찔려 피를 흘리며 행사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사진 = 연합 |
![]() |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를 테러한 김기종씨가 5일 범행 현장인 서울 세종문화회관 강연장에서 붙잡한 뒤 경찰차로 끌려가고 있다. 사진 = 연합 |
이 총리는 이후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과 강신명 경찰청장에게 전화를 걸어 “진상 파악과 배후 규명을 철저히 하고, 주한 미 대사관을 비롯한 주한 외교시설의 경계 강화와 외교사절의 신변 보호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박근혜 대통령을 수행해 아랍에미리트(UAE)를 방문 중인 윤병세 외교부장관은 이날 오후 4시45분쯤 리퍼트 대사에게 전화를 걸어 쾌유를 기원했다. 윤 장관은 현재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 중인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과도 통화할 예정이다. 서울 외교부에서는 윤 장관을 대신해 조태용 제1차관이 사태 수습을 위해 지휘에 나섰다. 정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박 대통령과 이 총리 지시로 철저한 진상 파악과 배후 규명, 대사 치료에 최선의 지원을 다할 것”이라며“주한 미국대사관 등 주한 외교시설에 대한 경계 강화와 함께 외국사절 신변안전 조치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1차관은 이날 오전 리퍼트 대사가 처음 후송된 서울 종로구 평동 강북삼성병원으로 향하던 중 미국대사관의 간곡한 요청으로 되돌아오기도 했다.
외교부는 특히 이번 사태로 한·미 관계에 미칠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서울과 워싱턴의 채널을 이용해 미국과 적극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 |
경찰이 5일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테러 사건이 발생한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세종홀 앞에 도열해 일반인의 출입을 차단하고 있다. 김범준 기자 |
한·미 양국은 이 자리에서 이번 사건이 정치적 이슈로 비화돼 한·미동맹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불필요한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서울에서는 신재현 외교부 북미국장과 에드워드 동 주한 미국대사관 정무담당 공사참사관의 채널을 가동해 리퍼트 대사 문제 피습과 사태 관리 방안을 협의했다.
김청중·이우승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