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의사에 반해 강제 연행” 22년 전 첫 보도 이어 다시 ‘경종’ 지금으로부터 22년 전인 1992년 1월11일 일본 아사히신문에는 세계가 깜짝 놀랄 만한 기사가 실렸다. 바로 일본군 위안소의 관리 및 운영에 일본군이 관여한 자료가 공개된 것이다.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당시 총리는 보도 직후 한·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를 사과해야 했고, 위안부 문제는 본격적으로 국제사회의 핫이슈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제기를 주도해온 아사히신문이 5일 20여년 만에 자사의 위안부 관련 보도를 체계적으로 검증해 1면과 2개면(16, 17면)을 통째로 할애한 특집기사를 게재했다.
아사히는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위안부 모집은 물론 인도네시아 등에서는 강제연행도 있었다”고 재확인했다.
신문은 검증 결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등 일본 우익이 부정하는 소위 ‘강제연행’과 관련해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에선 군(軍) 등이 조직적으로 납치와 같은 연행을 한 자료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군의 요청을 받은 업체가 ‘좋은 일이 있다’고 속여 많은 여성을 모집했다”고 강제성을 거듭 확인했다.
특히 “인도네시아 등 일본군의 점령하에 있던 일부 지역에서는 군이 현지 여성을 물리적으로 강제연행한 것을 나타내는 자료도 확인되고 있다”며 “(한국과 대만, 인도네시아 등의 사례에서) 공통되는 것은 여성들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위안부가 된 강제성이 있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익들은 요시다 주장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며 위안부 문제 전체가 거짓이라고 공격했다.
신문은 “일부 부정확한 보도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이해를 어지럽히고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그것을 이유로 ‘위안부 문제는 날조’라거나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과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스기우라 노부유키(杉浦信之) 편집담당자는 1면에 게재된 칼럼에서 “전쟁 중 일본군 병사들의 성(性) 상대가 되길 강요당한 여성이 있었던 사실은 지울 수 없다”며 “위안부로서 자유를 박탈당하고, 여성으로서의 존엄을 짓밟힌 것이 문제의 본질”이라고 지적했다.
도쿄=김용출 특파원 kimgij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