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족들의 시위는 지난 4월28일 KBS 김시곤 보도국장이 식사자리에서 “세월호 사고는 300명이 한꺼번에 죽어서 많아 보이지만, 연간 교통사고로 죽는 사람 수를 생각하면 그리 많은 건 아니다”는 발언을 했다고 ‘미디어오늘’이 보도하면서 시작됐다. 유족들은 8일 오후 4시쯤 KBS 간부들의 안산 화량유원지 조문에 반발한 데 이어 8일 밤 KBS를 항의 방문했으나 김 국장이 제대로 사과하지 않는다며 9일 새벽 청와대로 몰려가 밤샘 농성을 벌였다.
희생자인 단원고 임경빈(17)군의 아버지 임낙주(47)씨는 “한숨도 못 잤지만 잠이 오지 않는다”며 “정부의 제대로 된 사과 한마디만 들었으면 좋겠다. 바라는 건 ‘미안하다’. 그거 한마디”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아들의 영정을 끌어안고 있던 단원고 빈하용(17)군 아버지는 “현장에서 있는 그대로 방송한 매체가 있었느냐”고 반문하며 “KBS 측의 발언은 세상을 등진 학생들을 두 번 죽인 것”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유가족들을 박근혜 대통령 면담과 세월호 사고의 정확한 진상 규명, 세월호 사고 사망자 인원수를 교통사고 사망자 수에 비교한 김 국장의 해임과 길환영 KBS 사장의 공개 사과를 요구했다.
농성에 참여했던 유가족 대표 2명은 새정치민주연합 전해철 의원, 권영국 민변 변호사와 함께 오전 9시20분쯤 청와대를 항의 방문했다. 이들은 면회장소인 연풍문에서 1시간40분가량 박준우 정무수석과 이정현 홍보수석, 주광덕 정무비서관, 박동훈 행정자치비서관을 만나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이날 긴급민생대책회의에서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부에선 문제점들을 찾아내 바로잡고 책임자들에 대한 처벌과 관련 사항을 상세하게 국민에게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보도통제’ 논란으로 번진 KBS
이날 오후 2시쯤 김 국장이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발언의 취지가 왜곡됐다고 해명한 뒤 사의를 표명하면서 ‘영정 시위’ 파문은 수그러들었다. 이어 길 사장도 3시30분쯤 농성현장을 방문해 “KBS로 인해 상처받은 유족 여러분께 사죄드리겠다”며 “보도국장의 사표를 바로 수리하겠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오후 3시50분쯤 농성을 풀고 안산으로 돌아갔다.
![]() |
KBS 사장 “사죄드립니다” 세월호 침몰사고 희생자 유가족들이 9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주민센터 앞마당에 앉아 박근혜 대통령 면담을 요구하는 도중 길환영 KBS 사장이 김시곤 보도국장의 세월호 사망자 발언 등과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
김 국장은 종합편성채널 JTBC와의 인터뷰에서 “길 사장은 세월호 사건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끊임없이 보도를 통제해 왔다”면서 “윤창중 전 대변인 사건을 톱뉴스로 올리지 말라며 보도를 통제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KBS새노조는 길 사장에 대해 “과연 김 국장이 제기한 사장의 ‘보도본부 독립성 침해’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는지를 사내 구성원은 물론이고 수신료를 내는 국민들에게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KBS의 한 관계자는 “보도국장이 스스로 보도통제를 폭로하고 사장 퇴임을 요구하는 비정상적인 사태까지 빚어진 상황이 참담할 뿐”이라고 말했다.
남상훈·정선형 기자 linea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