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1년 이상 된 전동차 2022년까지 교체”

입력 : 2014-05-09 20:41:10 수정 : 2014-05-10 01:25:4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시 지하철 운영 개선안 발표 서울시가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열차추돌사고의 후속조치로 노후시설을 교체하고 외주화를 재검토하는 등 서울지하철 운영 관련 고강도 개선안을 발표했다. 장정우 서울메트로 사장은 사고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박원순 시장은 “조각조각 모든 것을 재검토하고, 안전을 위해서는 빚이라도 낼 것”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 방안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 시장은 9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서울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개선안’을 발표했다. 이번 후속조치로 지하철 외주화에 제동이 걸릴지 주목된다. 시는 개선안에서 차량, 궤도, 신호, 기계설비 분야와 같은 시민 안전과 직결되거나 상시적인 업무에 대해 ‘지하철 운영시스템 개혁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외주화 재검토까지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전동차 경정비 등 10개 분야에 외부 협력업체는 243개에 달하는데 검토를 거쳐 직영으로 전환하거나 자회사를 새로 설립해 외주화를 회수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겠다는 것이다. 협력업체 직원에 대해서도 시가 직접 근무 적합 여부를 점검하고 안전교육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노후차량 교체 계획도 앞당겼다. 시는 보유전동차 1954량 중 21년 이상된 600량을 우선 교체대상으로 보고 있다. 당초 2024년까지 교체할 계획이었던 2호선 500량은 2020년까지, 3호선 150량은 2022년까지 신형신호장치가 설치된 ATO차량으로 교체키로 확정했다. 또 승강기도 내구연한 15년이 지난 187대는 모두 교체키로 했다. 시는 2·3호선 교체에 8775억원, 승강기 교체에 1454억원이 든다고 추산했다.

시는 이외에도 위기상황 발생 5분 내로 초기대응을 마치는 ‘골든타임 목표제’ 도입, 서울도시철도공사로 분리운영되던 5∼8호선 관제센터까지 총망라하는 ‘스마트 통합관제센터’ 구축 등도 내놨다. 도시철도와의 통합 운영 관련 박 시장은 “같은 노선, 관할 구역에서도 관리주체가 달라 굉장히 불합리했다”며 정부 협조를 강하게 요구하기도 했다.

서울지하철 노조 관계자는 “인력감축, 외주화 관련 구체적 개선방안이 제시되지 않아 아쉽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서울 중앙선 옥수역에서 코레일 소속 용산행 전동차 기관사가 차량 주변압기 문제를 감지해 운행을 중단하고 승객을 환승시킨 일이 발생했다. 코레일은 20여분 만에 해당 전동차를 피신선로로 이동시키고 열차 운행을 재개하는 한편 문제 전동차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또 서울도시철도공사 소속 5호선 광화문역에서 소방시설 관리업체가 점검하던 기기가 오작동을 일으키면서 10여분간 물이 쏟아져 내려 시민들이 물벼락을 맞는 일이 발생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