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중공업은 19일 울산 본사에서 방한중인 리투아니아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대통령과 발주사인 노르웨이 회그LNG의 레이프 회그 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17만m³급 LNG-FSRU의 명명식을 가졌다.
이 설비는 축구장 3배 크기인 길이 294m, 폭 46m, 높이 26m로 리투아니아 연안에 설치돼 7만t의 가스를 저장, 공급하게 된다. LNG-FSRU는 해상에 떠 있으면서 LNG선이 운반해온 가스를 액체로 저장했다가 필요할 경우 재기화(再氣化)해 파이프라인을 통해 육상 수요처에 공급한다.
특히 그리바우스카이테 리투아니아 대통령이 직접 명명식 스폰서로 나서 세계 최초로 건조된 LNG-FSRU의 이름을 독립이라는 뜻의 '인디펜던스'(Independence)호로 지었다.
이 선박명은 그동안 리투아니아가 러시아에 의존해 오던 가스공급 경로를 이번 LNG-FSRU선 가동으로 다변화해 '에너지 독립을 이룬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재성 현대중공업 회장은 명명식에서 "성공적으로 건조된 LNG-FSRU가 리투아니아의 LNG 공급에 큰 역할을 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현대중공업은 리투아니아 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긴밀히 협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LNG-FSRU는 육상에 건설됐던 LNG 공급기지에 비해 공기가 1년 정도 짧고 건설비는 절반 수준에 불과해 극심한 에너지 부족으로 단기간에 LNG 공급기지 건설을 원하는 중남미, 동남아 국가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다.
해상에 설치돼 주민들의 '님비'(NIMBY·지역 이기주의) 현상도 초래하지 않는다. 게다가 자체 동력을 갖추고 있어 국가나 지역의 에너지 수요상황에 따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현대중공업은 2년여의 연구 끝에 LNG-FSRU 독자설계 능력을 갖췄으며 이번 LNG-FSRU은 통상 5년마다 2∼3개월간 도크에서 받는 유지 보수작업의 주기를 10년으로 늘려 작업 중단으로 인한 조업 손실을 최소화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1년 6월 회그LNG로부터 LNG-FSRU 2척을 수주한 것 외에도 2012년 2월과 10월 각각 한 척의 선박을 추가 수주한 바 있어 모두 4척의 선박을 건조해 선주사에 인도할 예정이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