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까지 1만9800가구의 공동주택 완공 예정
가격 폭락 등 부작용 우려하는 목소리 높아져
![]() |
최근 세종시가 세종시닷컴에 공개한 항공사진. 세종시청 제공 |
A씨는 "분양받은 아파트가 정부청사와 가까운 데다 조망도 좋고 전셋값도 인근 아파트보다 비교적 저렴해 금방 나갈 것으로 예상했는데 문의조차 없어 답답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요즘 세종시 전세 시장이 침체를 나타내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인근인 어진동과 종촌동·아름동 일대에서 아파트 전세 물량이 잇따라 나오고 있으나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세종시 A공인 관계자는 "정부세종청사 2단계 이전으로 세종시 아파트 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는 꽁꽁 얼어붙었다"며 "1주일에 1건 이상 거래를 성사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세종시 부동산 시장 침체는 저조한 신축 아파트 입주율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완공된 행복도시 4개 아파트(2700가구) 가운데 2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주민 입주가 이뤄지지 않은 아파트가 37%인 1000가구에 이른다.
저렴한 임대료 때문에 입주율 100%를 기록한 공무원임대아파트(632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3개 민간아파트의 입주율은 5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세종청사 이전 공무원 등 행복도시 아파트를 분양받은 주민의 상당수가 해당 아파트로 이사하지 않고 수도권 등에서 출퇴근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실제 관련업계에 따르면 수도권과 대전권에서 통근버스를 이용해 정부세종청사로 출퇴근하는 공무원이 하루 평균 46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출퇴근을 위해 운행되는 통근버스는 하루 평균 152대(수도권 82대, 대전권 70대)에 달한다.
이런 상황에서 연말까지 행복도시에 ▲아파트 1만6000가구 ▲도시형 생활주택 1300가구 ▲주거기능을 갖춘 오피스텔 2500가구 등 1만9800가구의 공동주택이 완공될 예정이어서 가격 폭락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세종시의회 관계자는 "세종시로 이사하는 공무원이 예상보다 많지 않아 도시 조기 정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정부는 공무원들이 서둘러 이사할 수 있도록 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