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국회 국정원 개혁 특위에서 대공수사권 폐지, 국내 정치파트 폐지를 포함한 기능 축소를 강하게 요구하는 상황에서 한반도 정정의 유동성이 커진 상황을 지렛대로 반격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또 장성택과 같은 최고위 인사도 '정상적인' 재판 절차 없이 처형됨에 따라 국회에 계류 중인 북한인권법 통과에도 드라이브를 걸 태세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은 어떠한 무자비한 일도 벌일 수 있는 집단임을 여실히 보여줬다"면서 "북한 인권유린에 침묵해선 안 되며, 국회에서 잠자는 북한인권법을 하루빨리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혜훈 최고위원은 "북한이 세계 최악의 반인륜적 행태를 저지른 데 대해 민주당과 문재인 의원, 통합진보당,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공식 입장 표명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정원 개혁 특위 위원인 유기준 최고위원은 "북한 사태가 어느 때보다 급박한데 자칫 특위 논의로 대북정보 기능을 약화시켜서는 안 된다"면서 "특히 국정원 수장이 언론에 노출되고, 상당한 시간을 소모하는 게 우리 안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기호 최고위원은 "장성택 처형에서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김정은이 장차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것"이라면서 "국정원을 국정원답게 만드는 게 북한의 급변 사태에 대비한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유수택 최고위원도 "지금 우리 국민은 불안정한 북한 정권이 앞으로 어떤 길을 걸을지 대단히 불안해하고 있다"면서 "국정원이 국정원 특위 활동에 위축되지 말고 대북 정보수집에 혼신의 힘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