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선 “환영… 머리 맞대고 의논”
安측, 선거연대 확장 우려 ‘신중’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국가정보원 개혁과 민주주의 회복을 기치로 제안한 전국적 연대기구 논의가 신(新)야권연대 논의의 지렛대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의 내란음모 혐의 사건 등으로 야권연대가 붕괴한 상황에서 국정원 개혁이라는 현안을 매개로 민주당, 정의당, 무소속 안철수 의원 세력이 손잡을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민주당과 정의당은 국정원 개혁 연대에는 의기투합하는 분위기다. 김 대표는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시민사회, 종교계가 주축이 된 연대기구를 제안하며 “반드시 민주당이 아니라도 민주주의 회복이라는 분명한 목표에 뜻을 같이하는 분들과 함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범야권 정치세력 전반에 문호를 열어 뒀다. 이에 정의당 천호선 대표는 11일 김 대표 언급을 자신이 지난달 제안한 ‘범야권 정치연대’의 화답이라고 자평하며 “머리를 맞대고 의논을 시작하자”고 말했다. 이번주 중 시민사회 내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19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예정된 장외집회는 전국연대의 출범식 형태를 띨 것으로 보인다.
관심은 이 같은 사안별 연대가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야권연대 논의의 단초가 될지 여부다. 전망은 불투명하다. 당장 안 의원 측에서는 이런 시선에 부담을 가지는 눈치다. 안 의원 측 관계자는 13일 “(연대기구 참여를) 공식적으로 제안받은 바 없고, 연대의 위상과 성격이 명확하지도 않아 뭐라 얘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방선거 독자대응 방침을 수차례 천명한 바 있는데, 자칫 발을 잘못 들였다가 야권연대 내지는 야권 재구성의 소용돌이에 빨려들 수 있다고 우려하는 분위기다.
민주당과 정의당도 신야권연대 논의로 확대해석되는 것을 부담스러워한다. 정치공학적 성격을 띨 경우 국정원 개혁이라는 애초 목적이 퇴색할 수 있어서다. 민주당 관계자는 “우리도 전국연대의 한 객체로 참여하겠다는 취지”라며 “국정원 개혁이라는 최종목표가 상당 부분 이뤄진다면 자연스럽게 연대기구의 효력은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당 대표도 선거연대 논의와는 선을 그었다.
이런 손사래에도 전국연대를 신야권연대의 전단계로 보는 시선은 남아 있다. 현실적으로 야권연대 없이는 새누리당의 독주 저지가 힘들다는 인식 때문이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중도 성향 무당층 유권자 유입을 통해 선거에 이길 수 있다는 ‘1단계 교두보’를 형성하려면 안철수 세력과 연대해야 한다는 논의가 민주당 내에서 필연적으로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반면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정기국회를 통해 국민적 공감대를 확실히 얻지 못할 경우 국정원 개혁 연대의 동력도 키우기 쉽지 않다”며 “정책연대나 선거연합 논의까지 내다보는 건 너무 앞서가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