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먹기 겁나요"… 번지는 방사능 수산물 공포

입력 : 2013-09-02 18:38:26 수정 : 2013-09-03 00:39:35

인쇄 메일 url 공유 - +

日 원전사고 여파 불안심리 확산
식약처, 활어회 시식 행사 불구… 시민들 “日식품 전수 조사해야”
“안심하고 먹으라는데 (정부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먹을 것 아닙니까?”

“식약처 홈페이지에 (방사능)검사결과 올려놓는 것은 정보공개가 아닙니다. 누가 장 보러 가기 전에 홈피 찾아봅니까?”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 여파로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직접 서울 노량진 수산시장을 찾아 활어회를 시식하며 막연한 공포에 대한 경계를 당부했지만, 시민들은 정부가 신속, 정확한 정보를 주지 않아 불안감을 키웠다고 성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일 서울 양천구 서울식약청에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연맹, 소비자시민모임 등 소비자단체들을 대상으로 ‘수입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설명회’를 개최했다.

“우리 수산물 안심하고 드세요” 수입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우려가 가시지 않는 가운데 2일 서울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열린 수산물 시식행사에 참석한 정승 식품의약품안전처장(오른쪽)과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회를 들어보이고 있다.
이제원 기자
식약처에 따르면 정부는 2011년 3월부터 일본 정부가 출하 제한한 13개현 26개 품목의 농산물과 8개현 50개 품목의 수산물은 수입 금지하고 있다. 또 일본산 농·수산물과 가공식품을 들여올 때 방사능 검사 증명서 혹은 생산지 증명서를 받는 한편 방사능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1년부터 현재까지 일본산 수입식품 6만6857건을 검사한 결과 기준치인 100㏃/㎏을 넘긴 사례는 없었고, 수산물 131건에서는 2∼5㏃/㎏ 수준의 방사능이 미량 검출됐다. 이외에도 명태와 고등어, 가자미 등 태평양산 수산물 6종에 대해 726건의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고, 국내산 수산물 14종에 대해서는 755건, 명태 등 원양 수산물은 283건을 검사해 모두 적합 판정을 했다.

김연화 소비자단체협의회 회장은 “일본 일부 현의 방사능 증명서로는 충분하지 않으니 일본 전역에서 나오는 식품에 대해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며 “해양수산부가 역추적 조사를 강화해 원산지 표시를 확실히 한다고 했는데, 생산이력제도 제대로 못 하면서 뭘 하겠다는 건지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자혜 소비자시민모임 회장은 “‘일본산’이라고 하면 후쿠시마산인지, 삿포로산인지 어디서 잡혔는지 알 수 없어 더 불안하다”면서 “‘미국 캘리포니아산’처럼 나라, 지역을 세분해 원산지를 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설명회가 끝난 후 정승 식약처장은 소비자단체와 함께 노량진 수산시장을 방문해 활어회, 생태탕 등 수산물을 시식하고, 인천항의 냉동 수입수산물 보관창고 및 활어보관장을 방문해 방사능검사 시료 채취 과정도 둘러봤다.

노량진 수산시장 상인 변영애(68·여)씨는 “점심시간 직장인들의 주메뉴였던 생태탕은 올여름 거의 안 팔리고 점심 손님도 뚝 끊겼다”고 말했다.

정 처장은 “우리가 소비하는 수산물 중 일본산은 0.5%에 불과하고, 국산 수산물은 아직 문제 된 게 없다”면서 “지난여름 적조 때문에 수산농가가 힘들었으니 국산이라도 많이 소비해주고 도와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김수미 기자 leol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