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곳은 한 명도 안 뽑아 공기업 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26% 이상 감소해 하반기 취업시장에 한파가 몰아칠 전망이다.
1일 공기업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한국가스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 등 30개 공기업의 올 하반기 정규직 신규채용 규모는 1197∼120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정규직 신규채용 인원인 1641명보다 26% 감소한 수준이다.
한국감정원과 한국광고진흥공사가 채용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못했지만 공기업 전체 채용 규모에서 양사가 차지하는 비중(지난해 2.8%)이 낮아 대세를 뒤집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채용 계획이 없는 공기업은 16개로 지난해의 10개보다 크게 늘었다. 기업별로는 지난해 하반기에 200명의 고졸 신입사원을 뽑았던 LH는 현원이 정원 수준에 근접해 올해 하반기에는 채용에 나서지 않는다. 연간으로 보면 지난해 500명을 뽑았지만 올해는 한 명도 뽑지 않는다.
정부 시책에 따라 상반기에 앞당겨 채용을 마무리한 한국남동발전과 한국서부발전, 인천항만공사, 한국조폐공사도 하반기 정규직 신입사업 공채 계획이 없다. 지난해 하반기에 26명을 뽑았던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비상경영을 이유로 올해 하반기 공채를 없앴다.
지난해 하반기에 207명과 97명, 70명을 각각 뽑았던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중부발전,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올해 150명, 60명, 15명으로 채용 규모를 줄였다. 현재 공채를 진행 중인 한국전력은 사업 다각화에 따라 하반기 채용 규모를 지난해 104명에서 올해 323명으로 드물게 많이 늘렸다. 한국광물자원공사(28→70명)와 한국동서발전(79→105∼110명), 한국석유공사(60→70명), 한국수자원공사(191→200명)도 하반기에 채용 규모를 소폭 늘렸다.
공기업들은 남동발전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도입한 스펙 초월 채용 등으로 채용 방식을 다양화하고 있다. 마사회와 수자원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공기업은 서류전형을 없애 학벌·학점·영어 등을 평가에서 배제하고 직무능력검사의 비중을 늘리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신진호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