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전이 가능성 낮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여파로 인도와 인도네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9월 국가 위기설’이 확산되면서 우리 정부가 시장 모니터링 강도를 격상하는 등의 움직임에 나서고 있다.
금융감독당국은 과도한 단기외환차입을 자제하도록 금융사에 권고할 방침이다.
21일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관계당국은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에서 나타난 통화 가치와 증시 급락, 그에 따른 한국 시장 영향의 모니터링 강도를 격상했다.
외환당국 고위관계자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영향이 신흥국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기재부와 금융감독당국, 한은 등 관계기관이 내부적으로 정보를 교류하면서 한국 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와 금융위, 한은 등은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시장 점검 내용을 실시간 교류하고, 거시경제금융회의도 수시로 열어 글로벌 자금 흐름과 외화유동성 등의 상황 인식과 대응 방향을 공유 중이다.
다만, 관계당국은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약한 신흥국의 자금 이탈이 예상했던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미시적 대응에 나서는 모습이다.
금융감독당국은 국내 금융사의 외환차입 동향 점검을 강화하는 한편 증권사 등 금융사를 대상으로 미국 양적완화에 따른 위기대응능력 평가(스트레스테스트)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위험요인을 예방하기로 했다. 정부는 상황별 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도 매만지고 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역시 한국이 인도 등 금융시장 불안을 겪고 있는 아시아 신흥국과는 차별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 부총리는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아시아 신흥국 금융위기 조짐이 한국으로 전이될 가능성에 대해 “조금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우리나라는 차별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외환과 금융시장은 쇼크가 있을 수 있다. 긴장감을 가지고 양적완화 축소 타이밍이나 국제금융시장 흐름 등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