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장외투쟁이 17일째를 맞아 장기전으로 가는 양상을 보이는 데다 국회 국정원 댓글의혹 국정조사에서의 진상 규명이 기대만큼 진척되지 못하자 국정원 개혁을 요구하는 등 동력 유지에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민주당은 지난 10일 전국 지역위원회 '총동원령' 속에 열린 2차 보고대회에서 어느 정도 당의 의지와 세(勢)를 보여줬다고 판단, 이번에는 수도권 지역위원회 위주로 참석을 독려했다.
계속되는 집회에 따른 당원들의 피로감도 감안한 조치다.
민주당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권리당원들에게 휴대전화 녹음메시지로 보고대회 일정을 알리는 한편 당 소속 의원들에게도 문자메시지를 보내 참여를 독려했다. 앞서 두 번의 집회와 마찬가지로 100명이 넘는 의원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주 집회에서 외부 초청 사회자의 발언이 '위험 수위'를 넘나들었다는 지적에 따라 이날 보고대회 사회자는 원내대변인인 정호준 의원에게 맡기고 '대선불복' 등의 메시지가 당 차원에서는 나오지 않도록 '입단속'에도 나섰다.
김한길 대표는 전날 국정조사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증인선서 거부 등 국정조사 '무력화'를 비판하고 전날 청문회에서 국정원 댓글수사 축소·은폐 의혹과도 연관됐다는 정황 증거가 드러난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 대사의 증인 채택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원식 전략기획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의 증언 태도에 대해 "(오늘 보고대회에서는 두 사람이) 국민과 국회를 무시한 데 대한 분노가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장외투쟁에 오지 않았던 문재인 의원은 3차 집회에도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의원은 최근 김 대표와 만나 자신은 당분간 장외투쟁에 나서지 않는게 좋겠다는 뜻을 전했고, 김 대표도 수긍하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당 관계자는 "문 의원이 김 대표를 만나 '장외투쟁에 제가 나가면 여당에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다'는 뜻을 전했고 김 대표는 '문 의원의 뜻을 존중한다'고 화답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대선후보였던 문 의원이 장외투쟁에 나설 경우 보수 진영에서 '대선불복'이라고 공격할 수 있음을 의식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