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EU)과 독일의 여러 공동체 프로젝트에 참여한 볼프강 에버츠 독일 뉘르팅겐대학 명예교수(도시건축과)는 독일에서 공동체 설립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가치 있는 삶의 대안으로 더욱 각광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독일에는 약 170곳의 거주자 중심의 자발적 공동체(게마인샤프트·Gemainschaft)와 생태공동체(외코도르프·Oekodorf)가 있다. 이런 공동체가 유럽에는 2000개가량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에버츠 교수는 “독일에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중산층이 지역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며 “향후 5∼10년 인구 약 1000만명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서만 8000∼1만명이 공동체로 이주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독일 공동체는 생태공동체로 출발한 곳이 많다. 19세기 후반부터 ‘자연 속 유토피아’를 찾아 떠나는 움직임이 시작돼 198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이후 공동체는 환경운동, 주택 문제 해결, 노인복지, 안전한 식품 확보, 육아 부담 경감 등 다양한 목적을 갖고 시민사회의 대안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에버츠 교수 역시 현재 독일 북슈바르츠발트 지역에 장애인 복지에 대안을 제시할 공동체를 만드는 EU 차원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는 거주자들이 스스로 지속가능한 삶을 디자인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도록 했으며, 공동체 구성원 전체의 의식 수준을 높였다”며 공동체가 현대 사회의 병폐를 고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국토환경 디자인 시범사업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는 그는 서울의 과잉 집중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동체가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세계적 추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과 주변 도시 인구밀도가 높아 아파트형 주거형태가 발달하면서 거주자가 사회적으로 고립돼 안전과 보호를 원한다”며 “반면 인구가 적고 훌륭한 자연환경을 가진 시골 마을이 많아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이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또 “공동체를 구성할 때 삶의 가치와 형태에 대해 같은 생각을 가진 구성원들을 모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공동체의 명확한 콘셉트를 가져야 유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슈투트가르트=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