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中선원 사망’ 또 터진 악재… 한·중 기류

입력 : 2012-10-18 09:20:53 수정 : 2012-10-18 09:20:5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센카쿠’에 발묶인 中, 한국과 분쟁 부담… 확전 피하는 듯 불법조업 중국인 선원의 사망 사고를 계기로 한·중 간에 미묘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우리 정부가 선원 사망 자체는 유감이지만 1차적 책임은 어디까지나 불법조업을 하며 흉기를 휘두른 중국 선원에게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자국 어선의 불법조업과 폭력 문제는 쏙 빼고 강한 유감의 뜻을 밝혔다.

지난 6월 북한 인권운동가 김영환씨 고문사건 이후 다시 한번 한·중 관계가 갈등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이런 양국의 외형적 신경전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이 사안에 강공 드라이브를 걸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이 일본과 센카쿠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갈등을 벌이는 와중에 한국마저 ‘적’으로 돌려놓는다는 게 적잖이 부담스럽다는 이유에서다.

압송되는 中 선원들 불법조업 단속에 저항하던 중국 선원이 해경이 쏜 고무탄에 맞아 숨진 가운데 사망자와 같은 배에 타고 있던 중국 선원들이 17일 전남 목포항 해경 전용부두에 도착해 압송되고 있다.
목포=연합뉴스
중국 정부의 17일 행보는 ‘확전이냐 자제냐’를 놓고 고심한 흔적이 역력했다.

중국 정부는 이날 오전만 해도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를 외교통상부에 보내 중국인 선원 사망에 대해 ‘강한 불만의 뜻’을 전달하겠다고 기세등등했다. 그러나 그의 방문은 막판 돌연 취소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언제 외교부 청사에 올지 정확히 시간을 밝혀달라고 거듭 요구했으나 중국이 계속 확답을 피하면서 결국 무산됐다”고 전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이날 새벽 신화통신에 “한국 해경의 폭력적인 법 집행이 우리 어민의 사망을 초래한 것에 대해 한국에 강렬한 불만과 항의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우리 외교부는 그런 항의를 받은 적 없다고 밝혔다.

이런 기류변화는 중국 언론의 논조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자국 어민들이 불법조업을 했고, 한국 해경의 단속에 흉기를 들고 극렬히 저항했다는 내용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전했다.

지난해 12월 중국인 선장의 우리 해경 살해 사건 때 불법조업이나 폭력저항보다는 한국 측의 ‘폭력적 단속’만 부각시켰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모습이다.

센카쿠 갈등과 관련, 과격한 반일 주장을 했던 환구시보(環球時報)도 이날 사설에서 “이번 사건으로 한·중 양국 관계가 악화되거나 양국민의 감정적 대립을 원하지 않는다”며 “한국은 중국 여론의 분노를 직시하고 뒤처리를 잘해야 한다”고 지적하는 선에서 그쳤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건은 개별적인 영사 문제에 해당한다”며 “사건사고 한건 한건을 외교 이슈화하고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갈등이 완전히 가라앉았다고는 하기 힘들다. 중국의 태도가 불법조업 문제에 대한 근본적 시각변화라기보다는 센카쿠 갈등에 치중하기 위한 전술적 변화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려서다.

특히 일본의 위안부 문제 처리에 불만을 품고 주한 일본대사관에 화염병을 던진 혐의로 복역 중인 류창의 신병인도가 어떻게 처리되느냐에 따라 선원사망 사건의 불씨가 번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 16일 외교부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우리 정부에 다음달 8일 만기 출소하는 류씨의 신병을 넘겨달라고 공식적으로 요구한 바 있다.

김동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나연 '깜찍한 브이'
  • 나연 '깜찍한 브이'
  •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케플러 강예서 '시크한 매력'
  • 솔지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