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내년부터 지방이전 러시… 엎친 데 덮쳤다

입력 : 2011-05-27 22:19:52 수정 : 2011-05-27 22:19:52

인쇄 메일 url 공유 - +

23곳 중 19곳 세종시·혁신도시行 일부硏 핵심인력 40% 이직 의사… 자녀교육 등 문제 이탈 가속도 우려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연구소 23곳 중 19곳은 계획대로라면 내년 말부터 세종시나 혁신도시로 이전하게 된다. 하지만 지방 근무에 부담을 느끼는 연구원들이 예상외로 많다는 게 현장 목소리다. 열악한 근무조건 등을 이유로 이탈 인력이 많은 상황에서 지방 이전이라는 악재까지 만나자 국책연구소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2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올 들어 소속 박사 연구원 6명이 대학교나 민간연구소 등으로 자리를 옮겼다. 지난해 박사 연구원 이직이 통틀어 4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는 이탈에 가속도가 붙은 셈이다. 이들의 이직은 연구소의 지방 이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KDI 관계자는 “박사 연구원들이 자리를 옮긴 직장의 위치가 대부분 서울 등 수도권”이라며 “본인의 근무 여건보다 자녀교육 문제 등을 주로 걱정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KDI는 급한 대로 부족한 박사 연구원 12명을 뽑을 예정이지만 역시 고민스러운 상황이다. 지방 근무가 예정돼 있다 보니 지원자가 없어 충원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고 있다.

KDI는 국책연구소의 ‘간판’ 격이다 보니 다른 연구소에 비해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다. 일부 연구소는 지방 이전을 재앙 수준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국책연구소의 지방 이전은 마치 ‘전염병’처럼 다른 연구소에도 악영향을 줘 이탈 행렬을 낳고 있다.

모 헤드헌팅업체는 대형 공공기관 소속 한 연구소는 핵심인력 40% 정도가 구직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자녀교육, 근무여건 등을 이직 이유로 꼽은 것으로 보아 세종시나 혁신도시 이전이 큰 영향을 준 것 같다”며 “청와대나 국회 등을 선호하던 과거와 달리 기업체로의 이직을 원하는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러나 대책을 내놓기는커녕 이 같은 현실을 부인하는 형국이다. 국책연구소 이전 업무를 맡은 태스크포스의 관계자는 “세종시나 혁신도시 때문에 박사 연구원들이 퇴사한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며 이런 상황 자체를 부정했다.

속이 타는 것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국책연구소들이다. KDI 관계자는 “몇 해 전 총리실에서 세종시 문제로 설문조사한 적이 있는데 그 뒤로는 피드백이 없다”며 “정년 연장 문제, 연금 문제 등 처우개선에 신경 쓰고 있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현실화된 게 없어 답답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희경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