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들어 물가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지난달 생활필수품 10개 중 7개는 가격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달 주요 생필품 80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66.3%인 53개가 전월보다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가격이 내린 품목은 24개(30%)에 그쳤고, 2개는 변동이 없었다.
월별로 80개 생필품 중 가격이 오른 품목의 수가 지난해 10월 48개, 11월 31개, 12월 37개였던 점을 고려하면 지난달 생필품 가격 오름세가 상대적으로 강했다.
이는 정부가 올해 들어 ‘물가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공공요금 동결, 담합 및 독과점 조사, 원가 및 유통구조 파악 등을 통해 물가 잡기에 온 힘을 쏟고 있지만 인플레 심리를 잡지 못한 셈이다.
지난달 가격이 전월보다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시리얼(12.1%)이다.
이어 설탕(11.8%), 고무장갑(9%), 일반면도날(8.4%), 새우깡(8.3%), 두부(8%), 세탁 세제(7.8%), 마요네즈(6.3%), 분유·커피(5.4%)도 많이 올랐다.
반면 식용류(-3.7%)와 녹차류(-2.7%), 어묵(-2.3%)은 전월보다 가격이 내렸다.
80개 생필품에 속하는 241개 제품의 평균 단위가격을 비교했을 경우 지난달 설탕인 ‘정백당 1㎏(대한제당)’의 가격이 전월보다 25.2% 올라 가격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어 고무장갑 ‘사랑 고무장갑 중형’이 24.8%, 분유 ‘프리미엄명작 1단계 800g’이 21%, 세탁 세제 ‘비트’가 20.7% 올랐다.
이와 달리 CJ의 ‘백설 국내콩기름 900㎖’와 ‘쇠고기 불고기’는 전월보다 각각 11.7, 9% 내렸다.
정부는 물가와의 전쟁을 장기전으로 보고 올해 1분기에 주요 생필품 생산 업체와 대기업을 상대로 가격 인상 자제를 촉구하는 한편 유통구조 거품 조사와 담합 및 부당거래 행위 조사 등 가능한 모든 대책을 쏟아낼 계획이다.
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방산 특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348.jpg
)
![[채희창칼럼] 정년 연장 법제화 무리해선 안 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336.jpg
)
![[기자가만난세상] 청년기본소득 명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262.jpg
)
![[기고] 정비사업 신속 추진, 자치구 권한 이양이 답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225.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