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여가활용 레저산업 고용효과도 기대 정부가 저탄소·선진형 생활양식 정착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20여년 만에 다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서머타임(일광절약 시간제)의 첫 시행 시점이 내년 5월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식경제부 김정관 에너지자원실장은 16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연내 여론 수렴과 공론화를 통해 의견이 모아지면 조기 시행한다는 방침”이라며 “시행 시기는 검토해야 하지만 이르면 내년 5월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머타임이 마지막 시행됐던 1987∼1988년에도 5월 둘째 주에 시행됐다는 게 김 실장의 설명이다.
서머타임은 해가 일찍 뜨는 여름철에 하루 일과를 빨리 시작하고 마감할 수 있도록 표준시간을 1시간 앞당기는 제도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중 한국, 일본, 아이슬란드 등 3개국이 도입하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아이슬란드의 경우 극지방에 가까워 백야 현상 때문에 특별히 의미가 없어, 실제로 시행하지 않는 곳은 한국과 일본뿐이라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서머타임 도입이 강력히 논의됐던 2007년 일본과의 서머타임 동시 도입 문제에 대해 김 실장은 “일본이 함께 시행할 때 효과가 크다면 일본을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면서도 “비용·효과 분석을 통해 효과가 있으면 도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일본과 함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단독 도입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서머타임 도입 효과에 대해 그는 “전기 수요는 0.3%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서머타임은 에너지 절약만을 위해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구체적 수치는 없지만 낮시간을 1시간 더 활용하면 일반 근로자들의 여가시간, 자기개발 시간이 더 늘기 때문에 레저산업 등에 고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김 실장은 “일본에서 2004년 산업연관표를 통해 분석한 결과 소비가 6471억엔, 생산이 9675억엔 늘어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됐으며 이를 통해 양국 간 경제규모 비율 등을 감안해 환산해보면 소비는 8628억원, 생산은 1조2900억원 정도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설명했다.
이천종 기자 sky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