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한국사, 뭘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느냐가 문제다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1-04-22 21:45:04 수정 : 2011-04-22 21:45:04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교육과학기술부와 국사편찬위원회, 역사교육과정개발추진위원회(역사추진위)가 어제 공동으로 역사교육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내년 고교 입학생부터 현재 선택과목인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배우고, 공무원 시험과 대학 입시에서 한국사 반영 비중을 높이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한국사 필수과목 지정에 환호성으로 반길 수만은 없다. 뭘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느냐가 화급한 당면 과제로 떠오르는 까닭이다. 대한민국 헌법과 역사를 앞장서 지켜야 할 국가 지도자가 ‘기회주의가 득세한 역사’라고 잘라 말하고 중학교 교사가 어린 학생들을 ‘빨치산 추모제’로 이끄는 잘못된 과거사가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 그런 방향으로 한국사 교육을 끌고 갈 바에야 차라리 교육을 접는 게 낫다. 식민·자학 사관이 판치는 학계 일각의 균형 잃은 시각이 청소년의 역사적 정체성 혼란을 부추기는 불상사가 이어지지 않도록 각별한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올해부터 쓰이는 고교 역사 교과서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하지만 자학사관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발견된다. 이래서는 올바른 교육이 될지 의심스럽다. 우리 사회의 차세대 주역들이 균형 잡힌 역사관을 가질 수 있도록 사실관계의 오류를 배제한 공정한 교과서를 최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얼마 전 공청회를 가진 역사추진위 향후 활동이 주목되는 이유다. 역사추진위가 내놓는 새 청사진은 오는 8월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고시하는 새 역사 교육과정의 골격이 된다고 한다.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역사 학습에 나서게 유도하는 교육적 감각과 배려도 요구된다. 교과부 측은 어제 교육 강화의 두 줄기로 ‘미래지향’과 ‘쉽고 재미있게’를 강조했다. “‘우리 역사는 어둡고 내용이 딱딱하다’는 선입관을 버릴 수 있도록 완전히 새로운 틀을 마련할 것”이라고도 했다. 국민에게 ‘재미있는 역사 교육’을 약속한 셈이다. 허언에 그쳐서는 곤란하다. 어제 약속을 반드시 지키기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