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이전 지연 겹쳐 '이중고' 경기도 평택시가 쌍용자동차 법정관리 사태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쌍용차 평택공장 주변은 장사가 안 돼 지역상권이 붕괴될 처지에 놓였고, 협력업체는 줄도산 위기다. 평택시는 미군기지 이전 지연, 고덕국제신도시 보상 지연 등 경제 관련 악재가 거듭돼 주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11일 평택시에 따르면 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차 전체 직원은 7100명으로 이 가운데 73%인 5200명이 평택공장에서 근무한다. 여기에 쌍용차 직원 가족과 200여개 1차 협력업체 및 2·3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면 평택 인구(40만명)의 12%에 해당하는 5만여명이 쌍용차와 생사를 같이하는 셈이다.
따라서 쌍용자동차의 붕괴가 지역경제에 미칠 타격은 상당할 것이라는 게 평택시의 판단이다.
이미 일부 지역에선 쌍용차 공장 가동 중단에 따른 후폭풍이 일고 있다. 지난달 쌍용차가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12월 임금을 체불하면서 쌍용차 주변 식당 및 상가는 수입이 반 토막 나는 등 주변 상권이 무너지고 있다.
쌍용차 인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이모(49·여)씨는 “지난달 수입이 평소의 절반도 안 된다”며 “공장 가동을 재개한 뒤에도 작업복을 입고 찾아오는 쌍용차 직원들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
평택시는 쌍용차 사태 외에도 경제관련 악재가 최근 잇따라 지역경제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예정됐던 고덕국제신도시의 토지보상이 올 하반기로 지연되면서 지역에 풀릴 예정이었던 3조1000억원의 돈이 풀리지 않아 지역 소비는 크게 위축됐다. 또 보상 계획에 맞춰 이주대책을 세웠던 주민들은 이자부담 등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엔 미군기지 이전이 2014∼2016년으로 또 한 차례 연기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평택지역 주민들은 심리적 공황 상태에 빠졌다. 미군기지 이전은 당초 2008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2012년으로 한 차례 연기된 데 이어 최근 한·미 군당국이 다시 이전시기 연기를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지이전이 지연되면서 평택시 팽성읍 미군기지 이전부지 주변 임대주택과 상가 등을 건설한 상인들과 임대주택 사업자들은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임대주택 등이 빈집으로 방치되면서 이 지역의 공동화현상마저 우려된다. 평택시의 한 관계자는 “쌍용차, 미군기지 이전 지연, 고덕신도시 보상 지연 등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평택 전체 경제의 절반 이상”이라며 “우선 가장 큰 현안인 쌍용차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김영석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