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6년 만에 ‘적조의 습격’… 양식장도 비상

입력 : 2013-07-28 22:04:33 수정 : 2013-07-28 22:04:33

인쇄 메일 url 공유 - +

포항 등 폭염에 냉수대 약해져
양포∼월포리까지 적조주의보
경북 동해안에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적조가 발생해 적조주의보가 발령됐다.

28일 경북도와 포항시에 따르면 국립수산과학원은 27일 오후 2시30분을 기해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양포리에서 북구 청하면 월포리까지 동해안 해역에 적조주의보를 내렸다. 동해안에서는 이날 오전 경북 포항시 구룡포읍∼호미곶 동쪽 3마일 해상에서 남북 방향으로 길이 1㎞, 폭 30m가량의 적조 띠가 처음 발견됐다. 이 적조 띠는 어민들이 조업하러 나갔다가 발견해 수산당국에 신고했다.

현장에서 채취한 바닷물을 분석한 결과 유해 적조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의 밀도가 적조주의보 기준치(㎖당 300개체)를 초과한 ㎖당 1000∼2000개체로 확인됐다.

포항시 관계자는 “최근 동해안 연안에 냉수층이 발달해 있어 적조가 없었는데 요즘 폭염이 강해지자 냉수대가 약해지면서 적조가 조류를 타고 올라온 것 같다”고 말했다.

적조는 강한 북동 조류의 영향으로 북동쪽으로 빠르게 북상하고 있으며 이날 오후에는 동해안 양식장에서도 적조가 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 중·남부(부산∼경북 울진) 수역은 전반적으로 저수온이 지속되고 있으나, 일부 수역(포항시 연안)에서는 냉수대가 약화되고 수온이 급격히 회복되면서 적조가 발생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포항시 등 동해 중·남부 일부 수역은 부분적으로 냉수대가 약화되면서 적조 발생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상태로 수온 회복 시 저밀도로 분포하는 적조 생물의 급격한 증식과 함께 적조 발생 해역이 중·남부 지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양식장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경북도와 포항시도 “현재 적조 피해는 없지만 유해성 적조 발생 해역이 점차 확산될 것으로 보이며 연안으로도 퍼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포항시를 비롯한 경북 동해안 일선 시·군은 어민들에게 적조 발생 상황을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발송해 양식업 등에 피해가 없도록 당부하는 한편 적조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포항=장영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
  • 미야오 나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