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커지는 'PF 공포'… 두 달 뒤 더 큰 쓰나미 오나

입력 : 2011-04-17 23:25:10 수정 : 2011-04-17 23:25:1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옥죄는 금융권… 떨고 있는 건설사
“두 달 내 더 큰 위기가 찾아온다.”

건설사와 금융권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포가 커지고 있다. 상반기 중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금은 약 14조원. 두 달 내 빌린 돈을 다 갚거나 만기를 연장하지 못하면 쓰러지는 건설사가 속출할 전망이다. 건설업계는 이 때문에 PF 대출의 무작정 회수를 자제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권은 무리하게 빚을 연장해주면 동반부실에 빠질 수 있어 속도 조절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정부 차원의 해법이 필요해 보이지만 뾰족한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멀쩡한 회사까지 쓰러진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12일과 15일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한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산업은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내실경영을 했던 기업이라는 점에서 붕괴 그 자체가 충격으로 여겨진다. 17년 연속 흑자를 낸 기업(동양건설산업)과 부동산 경기를 덜 타는 토목사업 위주 기업(삼부토건)까지 무너지는 상황으로 볼 때 중견 건설사들의 자금난은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는 특히 두 건설사가 PF 대출상환 압력을 견디지 못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쓰러지는 중견 건설사들의 문제가 펀더멘털 차원이 아니라 금융권 여신 강화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본격적인 건설위기는 두 달 내에 찾아올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은 은행권 15조원과 비은행권 10조원을 합쳐 총 25조원 규모인데, 이 가운데 13조8000억원은 만기가 2분기에 몰려 있다. 금융권이 지금처럼 여신 관리를 강화하는 상황이라면 5, 6월에 PF 대출을 갚지 못하거나 연장하지 못해 쓰러지는 건설사들이 얼마든지 더 나올 수 있다는 의미다.

10대 건설사도 이런 상황을 비켜 갈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각 건설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주요 건설사들의 PF 대출 잔액은 대우건설 3조8000억원, SK건설 2조5000억원, 롯데건설 2조3000억원, 한화건설 2조1000억원, 현대건설 1조7000억원에 달한다. 또 남광토건 1조5000억원, 두산건설 1조4000억원, 한라건설 1조4000억원, 쌍용건설 1조1000억원 등으로 상당수 업체들이 1조원 이상의 PF 부담을 안고 있다.

◆왜곡된 금융 구조가 문제

하반기엔 상황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는 게 건설업계와 금융권의 관측이다. 올해 초 잇단 영업정지로 홍역을 치른 저축은행의 PF 대출 만기는 3분기에 몰려 있다. 솔로몬저축은행계열의 PF 대출 만기는 2분기 1000억원에서 3분기 1300억원으로 증가한다. 현대스위스저축은행계열과 한국저축은행도 같은 기간 1000억원과 300억원에서 각각 1200억원과 700억원으로 증가한다. 이들 저축은행은 7월1일부터 총 여신에서 PF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25% 이하로 낮춰야 하는 금융당국의 규정에 따라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지 않는다는 방침이기에 벼랑 끝으로 몰리는 건설사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금융권이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대출금 회수를 강화할수록 건설사들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PF사업은 건설사의 지급보증과 금융권의 대출로 엮여 금융권이 채권회수를 강하게 할수록 건설사가 어려워지는 구조”라며 “지금처럼 대출에 따른 모든 위험부담을 건설사에만 떠넘긴다면 줄도산은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사업성은 따져보지도 않고 건설사 지급보증에 따라 무조건 돈을 꿔준 금융권도 문제”라며 “PF에 문제가 있다면 건설사와 금융권이 머리를 맞대고 상생할 방안을 찾아야지 규제만 강화한다고 되겠느냐”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지난해 말 일몰된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 부활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촉법은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이 채권단의 75% 이상 동의만 받아도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기촉법이 부활하면 일시적 유동성을 겪는 건설사는 자구노력을 통해 기업을 정상화할 수 있어 최근처럼 무조건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상황은 막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준모·장원주 기자 jmki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수지 '하트 여신'
  • 탕웨이 '순백의 여신'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