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술국치 100년’… 되짚어 본 亡國의 과정

입력 : 2010-05-28 17:28:04 수정 : 2010-05-28 17:28:04

인쇄 메일 url 공유 - +

강동수씨 장편소설 ‘제국익문사’ 올해는 나라가 일본에 통째로 넘어간 이른바 ‘경술국치’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어쩌다 그 지경이 됐는지 그동안 많은 연구들도 있었고 저술들도 쏟아져나왔다. 봉건 세력들은 외세의 힘을 빌어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썼고, 개화파들은 나름대로 진보적인 명분으로 나라를 변화시켜려 했다지만 그들 또한 외세를 이용하려다 실패하긴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대중은 망국의 원인이 시대의 변화나 세계사적 변동에 둔감한 봉건적 시스템 때문이었으리라 막연히 짐작은 하면서도, 망국의 과정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쉽지 않다. 민족감정이 앞서기 때문일 터이다.

◇망국의 과정을 균형잡힌 시각으로 그려낸 소설가 강동수씨. 그는 “가능한 대로 객관적인 시선을 견지하려고 애썼지만 어디까지나 평가는 독자의 몫”이라고 말했다.
강동수(49) 장편소설 ‘제국익문사’(전2권·실천문학)는 대한제국에도 고종이 은밀하게 운영한 첩보기관이 있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배경으로 망국의 과정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소설의 표제로 차용한 ‘제국익문사(帝國益聞社)’는 명성황후가 왜의 낭인 무리와 그 앞잡이들에게 시해된 후 “아문의 말단 서기들까지 발아래 기어드는 비루먹은 강아지처럼 몇 닢의 푼돈을 바라고 정부의 기밀을 샅샅이 외세에 고해바치는”(65쪽) 현실에서 고종황제가 은밀히 명하여 창설한 직속 첩보기관이었다.

제국익문사의 일원인 이인경이 이 소설을 이끌어가는 화자로, 그가 전개하는 이야기 속에는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한 우범선을 중심으로 박영효 김옥균 같은 급진 개화파들의 입장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인경은 한때 그들과 노선을 같이 했다가 황제를 모시는 쪽으로 돌아선 ‘장동화’라는 인물의 수하로 잔존 개화파들의 ’음모’를 분쇄하는데 일조하다가, 끝내 망실돼버린 나라의 외로운 테러리스트가 되어 만주에서 일본 헌병대에 잡혀 죽어가면서 이 모든 이야기를 회고한다. 이인경은 부친이 우범선과 함께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했다는 사실로 인해 복합적인 감정을 지닌 캐릭터로 설정돼 있다. 그가 암살 위기에서 살아난 것으로 설정한 우범선을 일본에 공작 차 갔다가 만나고, 그의 비망록을 통해 ‘친일 국사범’으로 알려진 그의 ‘변명’을 접하게 된다. 우범선은 죽어가면서 한때 동지였던 장동화에게 이렇게 항변한다.

“이 무지한 자야! 너는 어찌 천하의 대세에 그리도 어둡더란 말이냐. …나라의 기둥이 무너지고 있는데 썩은 서까래만 껴안다가 깔려 죽을 작정이더냐. 너는 일찍이 합중공화(合衆共和)의 나라를 세우겠다던 그 맹약을 잊었단 말이냐.”(2권, 274쪽)

작가는 명성황후 시해에 앞장섰던 우범선에 대해 감정을 앞세우는 대신, 차분하게 그들이 서로 대립했던 명분을 검토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는 이 소설에서 “적의 칼을 빌려 적을 치기 위해 우선은 적에게 집을 내주겠다”는 개화파나 “진실로 나라를 지키고 부강케 하여 백성들을 어루만지려는 것이 아니라 저네들의 권세와 부귀를 잃지 않기 위해 또 다른 권력의 울타리를 치려는” 민씨네 척족이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토로한다.

강동수씨는 1994년 세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해 장편소설로는 처음 발표한 이 작품에서 충실한 취재와 탄탄한 문체를 바탕으로 한 번 잡으면 끝까지 읽게 만드는 저력을 과시한다. 그는 “명성황후 시해사건은 우리 역사의 가장 고통스럽고 민감한 대목의 하나인데 자칫 소설로 면죄부를 주려 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음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낸 것은 우리의 아픈 역사를 객관적으로 들여다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작가의 말’에 밝혔다.

강씨는 이어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대한 민족적 분노는 당연한 것이지만 명성황후로 대표되는 수구당이 과연 올바른 노선을 밟았는가를 따져보는 것 역시 이와 별개로 필요한 일”일 뿐 아니라 “당대 개화당의 이념을 육화해놓은 우범선이라는 인물을 통해 개화당이 추구한 정치적 이념의 지형도와 그 한계를 짚어보는 것도 무익한 일은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용호 선임기자 jho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