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낱 반찬인 ‘김치’를 빼앗으려 할까?”…서경덕, 中매체에 일갈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3-23 11:04:19 수정 : 2022-03-23 11:04:1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中매체, 서 교수 ‘김치→파오차이’ 문제제기에 韓비하 인터뷰 또 게재
환구시보 “김치, 한낱 반찬인데 한국인 눈에는 세계의 중요한 발명품”
서 교수 “해당 내용 기사화 통해 ‘반한감정’ 불러 일으키려는 것” 지적
서경덕 교수가 자신을 비판한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의 기사를 소개한 글. 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캡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배우 추자현이 중국판 소셜미디어에서 김치를 '파오차이'(泡菜·중국 절임 채소)로 표기한 것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자 중국 매체가 이에 대해 비난하고 나섰다.

 

해당 매체는 심지어 한국을 비하하는 내용의 인터뷰까지 실으며 서 교수를 저격했다.

 

서 교수는 23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틀간 중국 누리꾼들에게 무시무시한 공격을 받았다. 늘 있는 일이지만 이번에는 더 심했다”며 “특히 관영 매체 환구시보 등은 기사로 저를 공격했다”고 밝혔다.

 

앞서 환구시보는 21일 “중국 내 한국 연예인이 ‘파오차이’를 ‘파오차이’라고 하자 한국 교수가 또다시 불만스러워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이 매체는 서 교수가 배우 추자현이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한 것에 대해 “실수는 더 이상하지 말았으면 한다”, “대외적 영향력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국가적 기본 정서는 헤아릴 줄 알아야만 한다”고 질타한 사건을 전했다.

 

그러면서 “서 교수가 중국의 김치 표기에 문제를 제기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며 "2020년 12월에는 ‘김치의 기원은 중국’이라고 적은 중국 포털 바이두(百度)에 항의 메일을 보냈다“고 했다.

 

문제는 환구시보가 이 사건을 다루면서 한국을 비하하는 내용의 인터뷰 기사를 재차 내보냈다는 점이다.

 

바이두 논란 당시 랴오닝(遼寧) 사회과학원 북한한국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은 “김치 기원 문제는 중국인에게는 우스갯소리에 불과한데, 한국인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중국인 눈에는 김치가 한낱 반찬인데 한국인 눈에는 세계의 중요한 발명품이다” 등 한국인을 조롱하는 발언을 했다.

 

심지어 “한국은 민족 전통과 풍습을 중시하는데, 이러한 민족 자존심이 특수한 민족 심리로 승화했다”는 표현까지 했다.

 

서 교수는 환구시보가 이 인터뷰를 다시 내보낸 것에 대해 강하게 질타했다.

 

서 교수는 “그런데 왜 ‘한낱 반찬’에 불과한 김치를 중국은 빼앗으려 할까요”라며 “한국은 최소 다른 나라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을 탐하지 않는다. 이 점이 바로 한국과 중국의 가장 큰 차이”라고 일갈했다.

 

이어 중국 매체가 정확한 역사·문화적 팩트를 조사하지 않고 감정적인 기사를 쓰고 있다며 “이는 기사화를 통해 중국 누리꾼들에게 반한감정을 불러일으켜 온라인상에서 공격성을 키우려는 것”이라고 일침을 날렸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나연 '깜찍한 브이'
  • 나연 '깜찍한 브이'
  •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케플러 강예서 '시크한 매력'
  • 솔지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