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독립유공자 훈포장 44개 수여했지만…후손 못 찾아 전달 못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1-03-03 03:00:00 수정 : 2021-03-02 14:13:1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일제 강점기 당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앞장선 전북지역 유공자 상당수가 국가 서훈에도 후손을 찾지 못해 훈포장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전북에서 3·1운동에 참여해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은 애국지사 등 283명 중 44명에 대한 훈·포장이 후손에게 전달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런 훈·포장은 애국장 2명, 애족장 8명, 건국포장 1명, 대통령 표창 33명으로 나타났다. 재적부가 소실됐거나 후손의 주소 확인이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3·1 운동 당시 전주에서 항일 운동에 앞장섰던 고 유선태(1862∼미상)씨가 대표적이다. 고인은 1919년 3월2일 전주군 전주면 고사정 전도교 교구실에서 민영진이 배부한 대한독립선언서를 건네받은 뒤 같은 달 13일 전주 장날에 맞춰 주민들에게 이를 나눠주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 이로 인해 유씨는 일본 경찰에 체포돼 1년간 옥살이를 했다.

 

고 이창준(1875∼1921)씨 또한 같은 해 3월23일 임실군 오수리 장터에서 다수 주민과 함께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다 시위를 이끌던 이기송이 연행되자 주재소와 면사무소에 돌을 던지며 일제에 저항하다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았다.

 

국가보훈처는 이들에 대한 독립운동 사실을 확인하고 2006년 유씨에게 국가 훈장 애족장을, 2010년에는 이씨에 대해 대통령 표창을 각각 수여 했지만, 아직 후손에 전하지 못하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독립기념관과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자체 등 자료를 토대로 독립 유공자들의 후손을 찾기 위해 나서고 있으나,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재적부상 본적, 주소 등이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데다 일부 소실된 때문이다. 해외에서 활동한 유공자 등의 후속 찾기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독립유공자들을 예우하고 업적을 선양하기 위해 서훈에 나서고 있다”며 “어려운 시기,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몸 바친 선열들의 명예를 드높이고 후손의 생활 안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이들을 적극 수소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천우희 '미소 천사'
  • 트와이스 지효 '상큼 하트'
  • 한가인 '사랑스러운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