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제국 초기 대조를 이루는 두 황제는 네로와 베스파시아누스였다. 네로는 처음엔 철학자 세네카의 보좌를 받고 비교적 온건한 정치를 펼쳤다. 문화예술의 후원으로 명성도 쌓았다. 하지만 로마 대화재 이후 돌변했다. 그 책임을 기독교도에게 돌려 기독교를 박해했고, 잔혹한 행동을 일삼아 귀족과 군부의 반발이 일어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네로가 죽은 후 일어난 내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새 왕조의 황제로 즉위했다. 폭군 네로에 의해서 피폐해진 로마를 다시 세우기 위해서 무너진 제도와 재정을 정비하고 동요하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한 대규모 건축 사업도 벌였다. 대표적인 것이 원형경기장인 콜로세움인데,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시작해서 그의 아들인 티투스 황제에 이르기까지 8년에 걸쳐 제작됐다.
그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의 흉상이다. 간략하지만 사실적인 묘사 안에 섬세한 효과들이 담겼다. 짧은 곱슬머리가 바짝 붙은 둥글고 단단한 두상, 선이 굵고 오뚝한 콧날과 턱과 목의 깊게 파인 주름 등이 강인함을 풍긴다. 꽉 다문 입과 크게 부릅뜬 눈, 이마와 미간의 험악한 주름 등이 조금은 무자비하다는 인상도 만들어낸다. 황제의 모습이지만 미화하거나 위엄 있는 모습으로 꾸미려 하지 않았고, 인상과 표정을 있는 그대로 사실적으로 나타내려 한 흔적을 볼 수 있다.
로마는 그리스가 꽃피운 서양 고대 문화를 확장해서 절정에 이르게 했다. 사색적인 그리스인들이 이룬 철학과 예술의 업적 대부분을 계승했고, 로마제국의 거대한 영토로 확산시켰다. 또 호전적이며 실용적인 로마인들이 그리스 문화를 건축, 토목 등의 분야로 확대 적용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순수미술에서는 그리스 작품들의 모작이란 형태로 명맥을 유지했다. 지금 우리가 보는 그리스 조각상 대부분이 로마 시대에 제작된 것은 그런 연유에서이다. 로마 미술 특유의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는데, 로마인들의 현실적인 성격이 미술작품에서 사실적인 묘사를 중시했고, 그 영향으로 제작된 것이 베스파시아누스 흉상이었다.
박일호 이화여대 명예교수·미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한국판 장발장’에 무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404.jpg
)
![[기자가만난세상] AI 부정행위 사태가 의미하는 것](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46.jpg
)
![[세계와우리] 트럼프 2기 1년, 더 커진 불확실성](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84.jpg
)
![[조경란의얇은소설] 엄마에게 시간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5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