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동맹 강화·대중 관리 안정
첨예한 미국과 중국의 대치 상황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 최종 결과물인 ‘경주 선언’이 막판 치열한 협상 끝에 도출됐다.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 간 양자회담이 열려 당사국 간 현안을 논의하는 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한국이 가교 역할을 무난히 수행했다는 평가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한국이 주도한 가장 큰 외교행사인 이번 에이펙은 녹록지 않은 대외 환경 속에서 다자무역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분석된다.
2일 외교가에 따르면 전날 폐막한 경주 에이펙 정상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자신이 표방한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무난히 수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다자주의, 자유무역 체제가 흔들리고,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경주 선언을 조율해냄으로써 다자외교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외교적 리더십을 입증했다. 재집권 후 더 강한 보호무역 기조를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귀환한 첫 에이펙에서 이 정도 협력 지대를 만든 것은 주목할 만한 결실이란 평가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한·미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이날 한·싱가포르 정상회담까지 이어진 양자외교에서도 적지 않은 의미를 남겼다. 무엇보다 장기화하던 한·미 관세협상을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만나 담판을 지어 경제의 불확실성을 걷어냈다. 안보의 숙원 중 하나이던 핵추진 잠수함을 정상 차원에서 의제로 꺼내 정치적 승인을 얻어낸 점은 ‘깜짝 성과’로 꼽힌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신임 총리와의 첫 만남도 우호적 분위기 속에서 열렸다. 우익 성향의 다카이치 총리 취임으로 개선 흐름이던 양국 관계가 다시 악화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가 일단은 불식됐다고 볼 수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는 호혜적이고 안정적인 양국 관계 발전 의지를 다졌다.
이번 에이펙을 통해 한·미 동맹과 한·미·일 협력을 토대로 하면서 중국과는 안정적인 관리를 해 나간다는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틀은 구축됐다고 파악된다. 에이펙 최초로 인공지능(AI) 공동선언 채택을 이끈 점도 외교적 차별점으로 꼽힌다.
다만 한국을 둘러싼 근본적인 대외 환경 자체는 여전히 녹록지 않다는 점에서 향후 보다 구체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능동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이집트 대박물관 개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07.jpg
)
![[특파원리포트] 경주에서 나온 복원의 첫 장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11.jpg
)
![[박영준칼럼] 美 위기 징후와 동맹전략의 과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79.jpg
)
![[심호섭의전쟁이야기] 저격능선·삼각고지 전투서 홀로 빛난 국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92.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