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말 日 화풍 일색 국전에 반기
1957년 모던아트 협회 창설 독자 활동
생활·자연·일상을 추상적 언어로 전환
서구 모방 아닌 한국적 모더니즘 모색
박고석 등 작가 11명 작품 156점 모아
전쟁직후 궁핍 속 치열한 예술혼 조명
요절·유학·생계 사정 속 1960년 해체
이들의 실험, 단색화·민중미술 등 영향
때는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았던 1950년대 말이었다. 고단하고 신산한 폐허 속에서도 삶은 다시 세워지고 있었다. 그들의 붓끝 역시 시대의 잔해를 더듬고 새로운 시대의 언어를 모색했다. 젊은 작가들은 일본 아카데미즘적 사실주의를 벗어나지 못한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중심의 기성 미술에 반기를 들었다. 권위와 위계에 반발한 화가들은 제도 밖에서 길을 찾았고, 협회와 동인은 분열했다.
그 혼란 속에서 모던아트협회가 등장했다. 1957년 결성된 모던아트협회는 ‘현대회화의 문제’를 공통의 기조로 삼으며 국전의 고답적인 사실주의와 앵포르멜(비정형 추상미술)의 급진성을 넘어서는 ‘제3의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불꽃은 그리 오래 타오르지 않았다. 요절과 유학, 생계의 사정 속에 연대는 4년 만에 흩어졌다.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협회의 행보는 한국 현대미술사의 변곡점이 됐다. 동시대 세계 미술의 언어를 흡수하려 했던 그들의 실험은 서구 추상의 모방이 아니라 한국적 모더니즘의 탐색이었다. 이들은 생활과 자연, 일상의 풍경을 추상적 언어로 전환하는 실험을 이어갔으며, 추상을 단순한 양식이 아니라 삶과 정신, 현실과 사유를 통합하는 태도로 이해하며 온건한 모더니즘을 구현해냈다.

“그룹전이라면 더러는 전시장에서 서로 좋은 자리에 자기 그림을 걸려고 전전긍긍하는 바보들의 행진 같은 야박스러운 일이 있을 수도 있지만 한국 최초로 결성된 그룹 모던아트 동인들은 모두가 초연한 자세여서 그런 부끄러운 일이 추호도 없었다.” 모던아트협회에 합류한 천경자는 1984년 이같이 회고했다. 특정한 양식을 강제하지 않고 구상과 추상, 표현주의와 절대추상을 모두 아우르며 폭넓은 스펙트럼을 허용한 이 ‘열린 연대’는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다양한 작가 그룹과 실험적 전시의 토대가 됐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에서 열리는 ‘조우(遭遇), 모던아트협회 1957-1960’은 그 짧고도 치열했던 시간들을 다시 불러낸다. 질서와 해체가 교차하던 시대 이들의 조우는 반세기가 지난 오늘에도 예술이 어떻게 시대와 마주해야 하는가를 묻는다. 전시는 협회에 참여한 작가 11명의 작품 156점과 아카이브 30점을 통해 전쟁 직후의 궁핍한 현실과 재건의 긴장 속에서 1세대 모더니스트들의 노력을 조명한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작가들이 모던아트협회를 결성하기 전의 작업을 돌아본다. 이들은 피난의 궁핍한 생활 속에서도 ‘하꼬방’을 아틀리에로 개조해 화업을 이어갔다. “좁디 좁은 대지에 여러 식구들이 살아야겠고, 일하는 방도 있어야겠다는 한 끝 부푸르기만 하는 욕심은 위로 자라서 결국은 명색 삼층을 짓고 말았다. … 이것이 두 팔 가량 되는 나의 피난 화방이다.”(한묵) 좁은 방에서도 그리기를 멈추지 않은 작가들의 삶과 예술에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2부에서는 모던아트협회의 활동 시기인 1957년부터 1960년에 그려진 작품 71점이 작가별로 전시된다. 모던아트협회는 1957년 박고석, 유영국, 이규상, 한묵, 황염수가 참여했던 동화화랑에서의 제1회전을 시작으로 1960년까지 여섯 차례 전시를 열었다. 문신, 정점식, 정규, 김경, 천경자, 임완규가 합류하면서 창작의 폭이 넓어졌다. 포용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개별 작가의 조형 의식과 실험을 존중하면서도 공동의 문제의식을 공유한 모던아트협회의 가치와 의의를 느낄 수 있다. 마지막 3부는 모던아트협회가 해산된 이후, 1970년 중반까지 개별 작가들의 작업과 활동을 보여주는 작품들로 짜였다.
이번 전시에는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작품도 다수 포함됐다. 황염수의 1950년대 작품 ‘나무’와 김경의 1960년작 ‘조우’, 박고석의 1961년작 ‘소’, 유영국의 1966년작 ‘새벽’, 한묵의 1965년작 ‘무제’ 등이다.

전시를 기획한 이효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는 “모던아트협회로 활동한 기간이 워낙 짧고 많은 작가가 이후 화풍이 크게 달라지면서 이 시기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았다”며 “하지만 이들이 남긴 문제의식은 이후 단색화, 민중미술 등으로 확산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또 다른 출발점이 된 만큼 연구하고 재조명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1950년대 이후 참여 작가들의 작업과 활동, 인공지능(AI) 기술로 전시를 생동감 있게 재현한 김시헌 작가의 영상작품 ‘전위의 온기’, 작가들의 삶과 교유, 현대미술에 관한 생각을 담은 수필과 비평도 함께 전시돼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미술관 2층 ‘보이는 수장고’에는 1970년대 이후 ‘장미의 화가’로 불린 황염수의 장미 연작과 꽃 그림 등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전시는 내년 3월8일까지.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