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환경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환경 기술 개발 우수 사례를 공개했다.
환경부는 28일 ‘2025 환경 기술 개발 우수성과 20선’을 공개했다. 환경부는 환경 기술 개발 분야에 대한 국민 관심을 높이고 우수 기술 사업화 촉진을 위해 2018년부터 매년 우수 기술을 선정해 공개한다.

올해 우수 성과 20선은 전년도 창출된 연구성과를 대상으로 전문가들이 환경 기술 개발 효과,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환경개선 파급효과 등 3개 분야를 기준으로 심사를 진행했다. 이어 국민권익위원회 운영 온라인 정책 참여 플랫폼인 국민생각함을 통해 대국민투표를 진행한 결과도 반영해 최종 선정했다. 올해 선정된 우수성과 20선은 온실가스 감축, 홍수 모니터링 등 기후위기 대응 기술을 비롯해 환경 현안 해결, 순환경제 등에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기술들로 선정됐다.
분야별 최우수성과 기술을 살펴보면, 환경 기술 개발 효과 분야에선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저에너지·고효율 스크러버 시스템(엠에이티플러스) 기술 개발이 선정됐다. 환경부는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감 효과를 동시에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진행한 ‘지하도 상가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원인 및 건강 영향의 과학적 분석’도 환경 기술 개발 효과 분야에 이름을 올렸다. 실내 공기 질 맞춤형 개선 방안을 마련, 지하도 상가 실내 공기질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분야에서는 버려지는 폐타이어를 열분해해 얻는 미세 탄소분말, 친환경 카본블랙(엘디카본)을 생산하는 기술이 선정됐다. 친환경 카본블랙은 다른 물질과 잘 섞이고 착색력도 좋아 산업제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기술로 타이어와 고무 제조에 재활용이 가능해지고, 지속가능한 타이어 순환자원 생태계 조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개선 및 파급 효과 분야에서는 국제도시물정보과학연구원이 선정됐다. 국제도시물정보과학연구원은 스마트 장비 및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에 인공지능(AI) 분석 기술을 적용, 도심 내 침수 위험지역을 실시간 감시하고 위험 상황을 즉각 알리는 시스템(국제도시물정보과학연구원)을 개발했다. 도심 홍수 대응 속도를 높여 국민 안전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환경부는 선정된 우수성과 기술에 대해 사업화 지원사업 및 신규 과제 선정 시 가점을 부여하는 등 이들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성과발표회 소개, 홍보 책자 및 동영상 제작 등 기술홍보 기회도 제공된다. ‘2025 환경기술개발 우수성과 20선’에 선정된 기술은 오는 11월에 개최 예정인 ‘환경기술개발 성과발표회’와 연계하여 우수성과 증서와 환경부 장관 표창이 수여될 예정이다.
서영태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우수한 환경기술은 단순한 연구성과를 넘어 기후 위기 대응, 환경문제 해결과 더불어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직접 기여하는 중요한 자산”이라며 “선정된 우수성과가 국민 실생활과 산업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